우거진 숲속에서 만나는 귀부인 '큰꽃으아리'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의 야산이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생
![]() 큰꽃으아리는 워낙 꽃이 커서 어두운 숲속에서도 쉽게 눈에 띈다. 사진=조용경 5월 중순에서 하순 경, 관목이 우거진 야산의 숲 가장자리를 거닐다 보면 눈 부시게 새하얀 커다란 꽃을 만나게 됩니다. 유난히 꽃이 커서 어두운 숲 그늘에서도 환하게 눈에 들어오는 자태가 마치 순백의 옷차림으로 성장한 귀부인 같은 모습입니다. 이 꽃의 이름이 ‘큰꽃으아리’입니다. 쌍떡잎식물로서 마나리아재비과의 낙엽성 덩굴식물인 큰꽃으아리는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의 야산이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랍니다. 겨우내 말라 죽은 것 처럼 갈색의 덩굴만 남아있던 뿌리에서 가는 줄기가 돋아나오고, 그 줄기가 2~4m 까지 자라며 잔털이 무성합니다. 줄기에서 나온 긴 잎자루 끝에 3~5개의 잎들이 마주나기로 달리는데, 길이가 4∼10cm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밑 부분이 둥글거나 심장 모양의 바소꼴입니다. 5∼6월에 흰색이나 베이지색, 드물게는 연한 자주색의 꽃이 가지 끝에 1 개씩 핍니다. 꽃의 지름은 5∼15cm이고, 꽃받침 조각은 보통은 8 장이며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은 뾰족합니다. ![]() 큰꽃으아리는 순백의 큰 꽃이 성장한 귀부인 같은 모습이다. 사진=조용경 암술과 수술 모두 수가 매우 많으며, 수술대는 흰색이고 편평합니다. 암술대는 길이가 3∼4cm나 되고 끝부부에 황색을 띤 2개의 가는 털이 있습니다. 큰꽃으아리의 꽃말은 ‘고결’ 혹은 ‘아름다운 당신의 마음’이라고 합니다. 녹색이 우거진 숲 속에서 여러 장의 꽃받침이 꽃잎처럼 환하게 피어난 모습을 보면 어렵지 않게 고결한 귀부인의 자태를 떠올리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꽃처럼 자신의 마음도 환하게 피어나는 기분을 느끼게 될 것 같습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위령선(威靈仙)이라는 약재로 쓰이는데, 사지 마비나 근육 마비, 요통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6월의 주말에는 가까운 야산으로 나가 이 우아한 귀부인을 만나는 행운을 누려보시기 바랍니다. ![]() 큰꽃으아리는 말라죽은 듯한 덩굴에서 봄이 되면 다시 살아나는 여러해살이식물이다. 사진=조용경 |
'한국의 춘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비꽃,현호색,엘레지,큰개불알꽃,양지꽃 (0) | 2020.05.02 |
---|---|
어릿광대의 첫사랑 꽃 (0) | 2020.05.01 |
철피석곡 (0) | 2020.04.29 |
으름꽃 (0) | 2020.04.29 |
양지꽃 (0) | 2020.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