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영양을 좋게하는 자양과
몸의 힘을 왕성하게 하는 강장제로
콩팥질병과 이질, 복통, 궤양성 질병에
효험을 나타내며 위장병 치료의
건위에도 사용한다고 합니다.
단, 한꺼번에 많이 드시면 배탈이 날 수 있으므로
하루 이틀 우려서 조금씩 드시기 바랍니다!
[식용 방법]
알뿌리를 강판에 갈아 물에 담가 놓았다가 녹말을 얻어 요리하는데 쓴다. 이 녹말은 영양가가 높기는 하나 많이 섭취할 경우 설사를 일으키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알뿌리를 조려서 양념간을 해 먹기도 한다. 어린 잎은 나물무침이나 국거리로 식용하며 맛이 담백해서 먹을 만하다.
꽃차 만들기
1. 자연 건조
*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한 얼레지 꽃은 약간 쓰고 아린 맛이 있으므로 꽃을 건조하여 우림 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므로 발효꽃차를 만드는 것이 좋다.
건조하여 꽃차를 만들 경우에는 꽃 봉우리를 반으로 잘라서 꽃술을 제건한 수 햇볕에서 하루정도
건조 후 바람이 잘 통하는 반 음지에서 수분이 남아있지 않게 건조하여 사용한다.
* 활짝 핀 꽃을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햇볕에서 하루정도 건조 후 바람이 잘 통하는
반 음지에서 수분이 남아있지 않게 건조하여 사용한다.
2. 증기 건조
얼레지 꽃을 증기를 이용하여 찐 후 꽃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활짝 핀 꽃을 채취하여 꽃을
찜통에 넣고 10-15초 정도 약하게 1-2변 찐 후 바람이 잘 통하는 반 음지에서
수분이 남아있지 않게 건조하여 사용한다.
3. 발효꽃차
* 활짝 핀 꽃을 채취하여 이 물질을 제거한 후 좋은 꿀이나 백설탕에 꽃을 겹겹이 재운뒤 햇볕이
들지 않는 곳에다 보관한다. 20-30일 정도 지나면 음용이 가능하다.
은방울난초(독초)-산마늘-얼레지 구분
1.은방울꽃
오월화, 녹령초, 둥구리아싹 이라고도 합니다...^^
산지의 양지바른 풀밭이나 산 정상부근의 잡목숲에서 자랍니다...
줄기 높이 25∼35cm 정도이고,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새순이 나오고,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집니다...
밑부분에서는 칼집 모양의 잎이 있고,
그 가운데에서 2개의 잎이 나와 마주 감싸며,
잎몸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길이 12∼18cm, 나비 3∼7cm 정도 입니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가 깁니다...
꽃은 5∼6월 경에 흰색으로 피는데, 종 모양입니다...
꽃줄기는 잎이 나온 바로 밑에서 나오며, 길이 5∼10cm의
총상꽃차례에 10송이 정도가 아래를 향하여 핍니다...
포는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넓은 줄 모양이며,
작은꽃자루의 길이와 비슷하거나 짧고, 화피는 6장이며,
수술은 6개로서 화관 밑에 달립니다.
씨방은 달걀 모양이며, 3실이고 암술대는 짧으며,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고,
7월 경에 붉게 익습니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향기가 은은하여 고급향수를 만드는 재료로 쓰기도 합니다...
한방에서는 강심, 이뇨 등의 효능이 있어 심장쇠약, 부종, 타박상 등에 약재로 씁니다...^^
2. 산마늘
줄기는 높이 10∼20㎝ 정도이고, 바소꼴이며, 외피는 그물같은 섬유로
덮여 있고 갈색을 띱니다...
잎은 넓고 2∼3개씩 달리며, 길이 20∼30㎝, 나비 3∼10㎝로 약간 흰색을 띤 녹색입니다...
잎자루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서로 둘러싸고 있습니다...
꽃은 흰색 또는 노랑으로 5∼7월 경에 피며, 높이 40∼70㎝의
꽃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립니다...
꽃턱잎은 달갈꼴이며 2개로 갈라집니다.
꽃덮이는 6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길이 5∼6㎜로 긴 타원형입니다.
수술 및 암술대는 꽃덮이보다 길며 꽃밥은 황록색입니다.
열매는 삭과이고 3개의 심피(心皮)로 이루어진 거꿀심장꼴입니다...
산마늘의 잎과 부드러운 비늘 줄기를 생식하면 강장, 건위제가 되며,
봄에 채집하여 된장에 묻어 두고 동절기에 먹으면 장수의 비결이라고 합니다...^*^
3. 얼레지
가재무릇이라고도 하며, 높은 지대의 비옥한 땅에서 자라지만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것도 있습니다...
비늘줄기는 바소꼴로 땅속 깊이 들어 있고, 위에서 2개의 잎이 나와서 수평으로 퍼집니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녹색 바탕에 자주색 무늬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잎몸은 긴 타원형입니다...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하여 달립니다.
꽃잎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뒤로 말리고 자주색이지만 밑부분에 W형의 무늬가 있습니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습니다. 꽃밥은 진한 자색이고 선형입니다.
씨방은 삼각모양의 달걀 모양입니다. 열매는 7∼8월 경에 결실하며,
삭과(殼果)로 넓은 타원형 또는 구형이며 3개의 능선이 있습니다.
잎을 나물로 하고 비늘줄기를 약용합니다...^*^
1. 새순
1. 은방울꽃 2. 산마늘 3. 얼레지
2. 잎
1. 은방울꽃 2. 산마늘 3. 얼레지
3. 꽃
1. 은방울꽃 2. 산마늘 3. 얼레지
4. 씨방
1. 은방울꽃 2. 산마늘 3. 얼레지
5. 뿌리
1. 은방울꽃 2. 산마늘 3. 얼레지
'한국의 춘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어가는 화분 살리는 법 (0) | 2020.12.26 |
---|---|
산반복륜소심 설풍소 (0) | 2020.12.22 |
산반중투화 (0) | 2020.12.16 |
중투화 (0) | 2020.12.14 |
원판소심(송옥) (0) | 2020.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