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춘란

패랭이꽃(chinense pink)

고재순 2017. 5. 31. 10:51

패랭이꽃(Chinense pink)
꽃말 : 정절내용

고려 예종 때 정습명의 시나 김홍도의 그림에서 나타나듯이 패랭이꽃은 오랫동안 우리 곁에 있던 꽃이다. 정원의 화려한 꽃은 아니지만 산기슭이나 들녘에서 강한 생명력으로 순박한 웃음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용

요즘 흔히 도로변에 관상용으로 심겨진 것을 볼수 있다. 꽃 모양이 좋고 키가 크지 않아 화단 및 분화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꽃색도 개량되어 여러가지가 나오며 연중 꽃이 피는 사계성인 것들도 있다. 자생 패랭이류 중 술패랭이(왜성)는 최근 도로변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추세다.

기르기

추위에 강해 전국 어디서든 월동에 별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다. 패랭이꽃은 전년도 가을에 씨앗을 뿌려 6월경에 꽃을 보는 추파일년초로 취급된다.

분류 및 자생지

패랭이꽃은 카네이션의 조상이기도 하다. 카네이션과 같은 석죽과 식물로 이 속 식물은 약 300여 종이 유럽의 남부, 중부, 동부지역과 아시아 북부 등지에 주로 분포하며 미국에도 딱 한 종이 자생한다. 우리나라에는 패랭이꽃, 갯패랭이꽃, 난쟁이패랭이꽃, 술패랭이꽃 등이 있으며 백두산에는 구름패랭이가 자생한다. 원종들은 일년생인 것과 다년생인 것들이 있으며 대부분 상록성이다.

영명

Chinense pink

학명

Dianthus sinensis

저자 : 송정섭 박사(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수 : 윤평섭 교수(삼육대학교)

 
관련


'한국의 춘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말나리(Ulreungdo lily  (0) 2017.06.02
플록스(Annual phlox)  (0) 2017.06.01
산조팝나무꽃.  (0) 2017.05.30
미나리아재비 (East Asian buttercup)  (0) 2017.05.30
태산목(Southern magnolia)  (0) 2017.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