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초 재배법

[스크랩] 백수오-재배(농촌진흥청 펌)

고재순 2013. 12. 24. 10:14

백하수오는 백수오 정식이름이며 하수오라 부르는 것은 잘못 된거라 합니다.

하수오란 적하수오가 하수오이며 동의 보감에 등록된 겁니다.

 

하수오는 백하수오, 적하수오, 나도하수오의 총칭하는 말로 우리나라에서는 백하수오와 적하수오로

구분하여 재배되며, 나도하수오는 적하수오와 비슷하나 뿌리가 길고 가늘어 수량이 낮으므로

재배하지 않는다.


식물학상 백하수오와 적하수오는 과(科)가 완전히 다른 식물로 재배, 수확, 가공방법이 전혀 다르며

약효성분과 한약재로 쓰이는 용도도 완전히 다르다.

 

백수오 열매 꼬투리


적하수오는 일본, 중국, 대만에서 한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백하수오는 우리나라에서만 한약재로 쓰이므로 수출을 목적으로 하면 적하수오,
국내 수요를 목적으로 하고자 할때는 백하수오를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백하수오는 마디풀과(科)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인 큰조롱(Cynanchum wilfordii HEMSELY)의
비대근으로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며,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양지의 산악이나
바닷가의 언덕 경사지 등에 자생하는 식물로 덩굴은 담록색을 띄우고,
시계 방향으로 감아 올라가며 3m정도 뻗는 식물이다. 줄기나 잎 등을 자르면 백색유액이 나오며,
종자는 메밀과 비슷한 담갈색으로 납작한 달걀 모양을 하고 1,000알의 무게는 6.5g 정도이며,
뿌리는 마(산약)와 같이 주근(主根)이 비대하여 잘라보면 절단면 바깥 부분은 유백색(乳白色)이고,
중앙부분은 담황색을 띤다.


재배지역은 우리나라에서는 어느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나 가급적이면 유기물이 풍부하고
토심이 깊고, 배수(排水)가 잘 되는 사양토, 식양토가 좋으며 배수가 잘안되는 습지에서는
주근이 비대하지 못하여 썩기 쉽고, 또한 토심이 너무 낮으면 뿌리 뻗음이 좋지 못하여 품질이 저하되며
수량도 떨어지게 된다.

주요성분은 총질소 1.1%, 전분 45.2%, 조지방 3.1%, 광물질 4.5%, Lecitrin 3.7%,
안트라 퀴논 유도체 1.1% 물에서 가용물 총량이 26.4%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도는 장기의 기능을 돕고, 향진시키므로 중풍을 예방하고, 자양강장제로 이용,
익정혈, 강근골 등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익정, 금창, 한열, 중풍, 이뇨제등으로
많이 쓰이고 일부 민간약으로는 술을 담아 이용하기도 한다.


백수오에 대한 재배기술 체계를 확립하고자, 1980년부터 1990년까지
충북농촌진흥원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던바 몇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공시품종은 충북지방재래종을 공시하였고 종자는 충실한 것으로 선별하여
종자 소독약인 베노람으로 분의 처리하였으며, 묘상에서 1년간 육묘하여 이식하는 묘,
수확한 후 약재로 이용하지 못하는 졸품(卒品) 등을 이용하였다.
10a당 퇴비는 1,000㎏을 기비로 살포하고 경운한후 N-P-K =8-4-4㎏을
다시전면에 시용(施用)하고 경운, rotary하고 7일 후에 파종 정식하였다.
재식거리는 휴폭 50㎝주간 10㎝로 하였고, 파종한 뒤 50일경이 되면 초장이 20㎝ 정도 될 때
름장마에 쓰러지지 않도록 지주를 튼튼하게 설치하고,
개체별로 유인하여 줄기나 잎이 땅에 닿지 않도록 하였다.

파종기에 관한 연구 결과는 표 1에서와 같이


<표 1> 파종기별 생육 및 수량

파종기 출현기 출현소요 만장 엽수 분지수 근장 분근수 10a 당
(월·일) (월·일) 일수(일) (cm) (매) (개) (cm) (개) 수량 지수
3.2 5.16 57 236 79 2.3 21.8 5.5 207 100
3.3 5.19 49 241 74 2.3 23.6 5.7 245 118
4.1 5.24 45 225 66 1.9 23.2 5.6 230 110
4.2 5.31 41 220 63 1.9 22.7 5.5 228 110
4.3 6. 4 34 195 63 1.9 21.4 5.4 179 86

출현기는 3월 20일 파종은 5월 16일에 출현되어 57일이 소요되었고
3월 30일 파종은 5월 19일로 49일이 소요되는 등 파종이 늦어질수록 출현 소요 일수는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파종이 빨랐던 3월 20일에서 만장 236cm에 비하여 3월 30일 파종에서는 5㎝길었으나
4월 10일 부터는 11∼46㎝가 짧아 생육기간이 짧아질수록 만장도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엽수는 3월 20일 파종 79매보다 3월 30일 파종은 74매로 5매가 적었고,
4월 10일 파종 66매로 13매, 4월 20일, 4월 30일 파종은 63매로 16매가 적었으며,
분지수는 3월 20일 파종 2.3개에 비하여 3월 30일 파종은 같았으나, 4월 10일 파종부터는 0.4매가 적었다.
근장은 조기 파종한 3월 20일의 21.8㎝에 비하여 40일 늦게 파종한 4월 30일 파종의 21.4㎝로 0.4㎝가 짧았으나
3월 20일은 23.6㎝로 1.8㎝ 길었고, 파종이 늦을수록 점점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분근수는 3월 20일 파종 5.5개에 비하여 3월 30일에는 0.2개, 4월 10일에는 0.1개가 많았으나
4월 20일은 5.5개, 4월 30일은 5.4개로 0.1개가 적었다.


10a당 수량은 3월20일 파종 207㎏에 비하여 3월30일은 18% 4월10일, 4월20일은 10%가 각각 증수 되었으나
4월 30일 파종은 14%가 감수되어 중부 내륙지방에서 백하수오를 재배하고자 하면
지온이 다소 높아지는 4월 상순 즉 4월 6일 내외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종근별 재식밀도 시험은 표 2에서와 같이,


<표 2> 종근별 재식밀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구 분 출현기 만장 엽수 분지수 꼬투리수 근장 근태 분근수 10a 당(kg)
(월·일) (m/㎡) (매/㎡) (개/㎡) (개/.㎡) (cm) (cm) (개/만) 엽중 근중 둥중 지수
                (%)
휴폭,주간 5.11 5224 3567 21.7 701 28.6 1.3 88.5 913 885 2122 243
(㎝) 60×10 5.11 2329 1939 14.9 509 24.7 1.4 50.6 490 453 1960 225
60×20 5.11 1720 1427 12.9 371 21.7 1.5 37 337 402 1338 153
60×30                        
1 60×10 5.12 5140 4262 21.7 501 34.4 1.5 75.2 872 1005 3322 381
60×20 5.15 2319 2336 15.8 686 32.9 1.4 44 525 595 1774 203
60×30 5.15 1933 1744 15.1 474 31.2 1.9 40.9 388 437 1434 164
                         
                         
3 60×10 5.1 4723 3530 20 690 36.7 0.9 78.5 727 725 2147 246
60×20 5.14 3312 2261 14.1 523 29.6 1 39.8 456 490 1189 136
60×30 5.17 1613 1681 10.1 556 30.3 1.2 26.9 337 323 873 100
                         
                         

출현기는 종근간에는 종자직파가 빠르고, 1년생 묘, 3년생 묘는 3일 늦었고,
재식밀도에서는 10㎝는 5월11일에 출현되었으나 20㎝는 5월13일,30㎝는 5월14일에 출현되어 2∼3일 늦었다.
만장은 출현 후 70일 까지는 3년생 종근에서 빨랐으나 빨랐으나 그 후 점차적으로 신장속도가 늦어졌으며,+
재식 밀도간에는 소식보다 밀식에서 길었고, 증가속도도 밀식에서 빠른 경향이었으나 이는 약간 도장이 되었다.


근장은 1년생 종근이 길었었고 소식보다 밀식에서 길었으며 근태(根太)는 1년생 종근에서 굵었고,
밀식보다 소식에서 굵었으며 근중은 1년차에는 1년생 종근에서, 재식밀도에서는 소식보다 밀식에서 증수되었고,
2년차에서도 1년차와 같은 경향이나 노후 종근인 3년생 종근의 생근중은 증가 속도가 늦었으며
소식보다는 밀식에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백하수오의 재식밀도에 따른 수량구성 요소 및 수량을 보면 표 3에서와 같이
출현은 재식밀도간에 차없이 균일하였고, 엽수는 휴폭 40㎝의 83매에 비하여 50㎝, 60㎝에서 모두 증가되었으며,
휴폭이 넓을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주간에는 대차 없었다.

 


<표 3>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휴폭 조사항목 출현기 만장 엽수 절수 근장 근태 분근수 10a 당
(cm) (주간) (월·일) (cm) (매) (절) (cm) (cm) (개) 수량 지수
40 10 5.25 228 90 23.7 23.5 1.1 4.3 481 100
20 5.25 226 89 25.7 24.8 1.3 5.3 345 72
30 5.25 223 71 24.9 25 1.1 5.7 262 55
평균 5.25 226 83 24.8 24.4 1.2 5.1 363 100
50 10 5.25 227 104 25.3 23.4 1.1 5.5 542 113
20 5.25 220 95 25.6 23.3 1.2 5.7 380 79
30 5.25 224 82 24.6 27.1 1.3 5.8 296 62
평균 5.25 224 94 25.2 24.6 1.2 5.7 406 112
60 10 5.25 245 112 25 23.7 0.8 5.1 451 94
20 5.25 221 92 25.6 24.1 1.2 4.9 356 74
30 5.25 232 81 24.6 25.4 1.2 4.8 306 62
평균 5.25 233 95 25.1 24.4 1.1 4.9 371 102

 

 

 

 

 

 

 

 

 

 

 

 

 

 

 

 

 

근장은 휴폭간에 대차 없었으나 주간이 넓을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근태(根太)는 1.2㎝로 처리간에 대차없었다.
10a당 근중은 40㎝휴폭의 363㎏에 비하여 50㎝는 12%, 60㎝는 2%가 각각 증수되었으나
주간 10㎝ 481㎏에 비하여 15㎝, 20㎝모두 감수되어 백하수오의 재식밀도는
휴폭50㎝, 주간10㎝가 효과적이었다.

시비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은 표 4에서와 같이


<표 4> 시비방법에 따른 수량구성 요소 및 수량

요소시비방법(%) 출현기 만장 엽수 절수 근장 근태 분근수 10a 당
기비 1회 추비 2회 추비 (월·일) (cm) (매) (절) (cm) (cm) (개) 수량 지수
100 - - 5.19 226 63 29 19.5 1.4 4.8 307 100
50 50 - 5.19 228 76 30 17.4 1.3 4.7 286 93
50 30 20 5.19 228 71 29 16.9 1.2 4.8 157 84
70 30 - 5.19 230 76 31 19.8 1.2 4.7 316 103
70 20 10 5.19 196 64 29 18.1 1.3 4.7 309 101

재배시에 참고하시구요 비닐 멀칭시에는 2년차정도에서는 벗겨주시구요 (안그러면 꼭지가 괴사가 옵니다)

출현기는 5월19일로 요소분시 방법간에 차없이 35일이 소요되었다.
만장은 요소 전량 기비의 226㎝에 비하여 70-20-10% 분시구에서 30㎝ 짧았으나
그외 처리는 2.3㎝가 짧았고, 근장은 요소 전량 기비구 19.5㎝에 비하여 70∼30%
분시구는 0.3㎝가 길었으나 5% 분시구는 2.3㎝가 짧았다.
10a당 근중은 요소 전량 기비구 307㎏에 비하여 50%,분시구는 11%감수되었으나 70%는 2%증수되어 유리하였다.


【참고문헌】

1. 약초재배. 1980. 정용복, 박재희. 화학사.

2. 약초재배법과 야생약초의 이용법. 1976. 이원호. 장학 출판사.

3. 재배 약초사전. 1988. 大類元弘 成田準人. 일본인쇄주식회사.

4. 한국의 자생식물. 1988. 농촌진흥청.

5. 작물생산과 연구의 국내외 동향. 1990. 작물시험장.

6. 산채, 약용작물 재배기술('92 소득작목 교재). 1992. 경기도 농민교육원.

기관명 : 충청북도농촌진흥원
주 소 : 충북 청원군 옥산면 호죽리 349번지
성 명 : 최 인 식
전화/FAX : 0446-877-5233

출처 : [우수카페]산삼을 찾는 사람들
글쓴이 : 김영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