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방

냉이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고재순 2018. 1. 24. 11:35

냉이는 겨자과의 두해살이풀로 봄나물을 대표하는 나물이며,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골고루 분포하는데 잎과 뿌리 전체를 채취하여 식용한다.

냉이는 겨울에는 잎이 자줏빛으로 쭈글어든 것처럼 되었다가

봄이 되면 녹색으로 변하며,

얼음이 녹자 마자 따뜻한 곳에서 자라는 식물이고

감칠맛이 나기 때문에 누구나 좋아하는 나물이다.

한방에서는 냉이의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재채(齊寀)라 부르고,

그 씨앗을 제채자(齊寀子)라 하여 약재로 쓰는데,

학명은 Capsella bursa-pastoris이다.


 

냉이의 특성

 

냉이는 온대지방의 들이나 밭에서 자라는데 전체에 털이 있고,

뿌리는 하얀색이고 곧게 뻗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냉이는 키 높이가 10~50cm에 이르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5월에서 6월에 걸쳐 하얀색의 꽃이 피는데

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여 끝까지 십자화(十字花)가 많이 달린다.

냉이의 어린 순이나 잎은 뿌리와 함께 먹는데,

냉이국은 뿌리도 함께 넣고 끓여야 참다운 맛이 난다.

 

 

 

냉이의 성분

 

냉이는 수분이 81.5%, 단백질이 4.70g, 당질 3.80g, 지질 0.70g,

베타카로틴 1,136.00, 비타민 A 189.00RE, 비타민 C 74.00mg,

식이섬유 5.70mg, 엽산 16.10, 88.00mg, 칼륨 288.00mg,

칼슘 145.00mg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채소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고

비타민 AC, 칼슘이 풍부해서 나른한 봄날에 입맛을 돋궈주는 채소이다.

그리고 콜린과 아세틸콜린, 푸마르산, 이노시톨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우엉과 흡사한 독특한 향기를 낸다.

참고로 시금치의 비타민 C60.00mg이다.

냉이씨앗의 열매껍질은 diosmin이 들어 있는데

비타민 P와 같은 작용을 하며,

모세혈관 투과성을 낮추는 작용은 rutin 보다 강하고,

독성도 약한 편이다.


 

봄나물에 대해

 

우리나라 음식의 가장 큰 특징은 나물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다.

201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사람 1인당 채소 소비량은 188Kg으로

부동의 세계 1위다.

요즘처럼 재배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과거엔

대부분의 나물을 자연에서 얻어야 했다.

오죽했으면 그 때 그 시절에 뛰어난 신부의 조건 가운데 하나가

다양한 종류의 나물을 구분할 줄 아는 능력이었을까.

나물 중에서도 으뜸으로 치는 것은 단연 봄나물이다.

이 때문에 봄 음식에서 봄나물이 빠진다면 얼마나 초라하겠는가.

'봄 음식이 곧 봄나물'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다.


 

 

냉이의 또 다른 이름

 

일년생 봄나물은 잎과 뿌리, 또는 줄기 전체를 먹고

다년생 풀이나 나무의 새싹도 나물로 이용한다.

이렇게 식용하는 새싹은 몸에 해로운 성분이 거의 없고,

있다고 해도 데치거나 삶는 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기 때문에 부담이 없다.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과도 상당하다.

그래서 한방에서는 봄나물을 약재로 쓰는데

민들레는 포공영, 쑥은 애엽, 두릅은 독활 등의 이름으로 처방한다.

아래 사진은 냉이 꽃이다.


 

 

춘곤증에는 냉이가 제격

 

봄에 접어들면 식욕부진, 피로감, 수면부족 등의 증상이 나타나곤 하는데,

이때 봄나물을 먹으면 회복되기도 한다.

이는 봄나물이 함유한 풍부한 비타민과 무기질 덕분이다.

달래, 냉이, 씀바귀 등의 나물류는 한마디로 비타민과 무기질의 보고다.

실제로 냉이 100g을 먹으면 성인이 하루에 필요한 양의

비타민 A를 섭취할 수 있다.

 

 

냉이의 효능

 

냉이는 소화기능을 보강하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시력을 좋게 하며 지혈작용을 한다.

그래서 만성적인 설사나 이질, 임질, 소변곤란, 토혈, 대변출혈,

자궁출혈, 월경과다, 안구건조나 안구의 통증, 나른한 사람에게 좋다.

냉이 씨는 시력을 좋게 하고, 눈물이 말라서 눈이 아플 때,

녹내장에도 효과가 있으며,

예전에는 청맹으로 물체를 잘 보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했다.


 

 

냉이의 부작용


냉이는 별다른 부작용이 없다.

다만 냉이는 칼슘이 145.00mg이나 들어 있어서

시금치의 칼슘 40.00mg보다 3.5배나 많기 때문에

결석이 있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