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1960년대 그때 그시절..
지나간 사진들은 Neil Mishalov
모내기에 여념이 없는 농부들(1968)
한가족의 단란한 한 때(1968년)
동네 어귀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1968년)
음주 가무를 즐기던 할머니들, 손만 뻗으면 바로 춤이다.(1968년)
동네 골목 풍경` 이 시절만 해도 애를 업고 다니던 사람이 많았다.(1968년)
여름 피서, 옷을 `홀라당 벗겨 놔도 창피함이 없었던시절
시골 초가집 풍경(1968년)
예전 시장 길 노점 요즘처럼 포장 노점이 아니라
농촌의 가을 추수, 벼를 탈곡하고 볏집을 묶는 아낙(1968년)
동네 울역, 1960년대는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마을 길 정비 울역이 있었다.(1968년)
지게에 풀을 지고 가는 농부, 소에게 풀을 주거나 퇴비만드는 용도로 쓰임(1968년)
60년대 후반의 서울 명동거리-서울의 신사 숙녀만 다녔던 거리 맨 끝의 건물이 명동성당입구의 옛 성모병원
1950년대 우시장, 시장이라 하기에는 너무 초라하다. 갓쓴 노인, 핫바지 저고리 의상을 갖춘 모습
한국전쟁의 발발로 모든게 초토화된 시절, 오직 운반수단은 소가 끄는 우마차였다.(1954년)
50년대의 여름 개울가-아주머니는 빨래하고
아낙들의 한양나들이, 한복 복장에
영감님의 행차
여인의 큰절 (1958년) 할아버지의 행차(1958년)
우마를 끌고가는 촌부(1958년) 밭에 오물 뿌리러 가는 촌부(1958년)
우물가에서 빨래하는 여인(1958년)
마을 언덕길에서 망중한을 즐기는 동네 어르신들, 대개
60년대 도시 외곽 지역 골목안 풍경(1969년)
1960년대 남자아이들-대개 까까머리거나 |
'전쟁후 피난촌의 칼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울 행촌동 1972` (0) | 2014.12.23 |
---|---|
[스크랩] 50년전 한강모습 (0) | 2014.12.13 |
[스크랩] 사라지는 풍경들 (0) | 2014.11.17 |
[스크랩] 100년전 인천의 명칭은 제물포였습니다 (0) | 2014.11.17 |
[스크랩] 풀베던 그시절 (0) | 201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