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초 재배법

삼지구엽초 번식 및 재배기술

고재순 2019. 8. 14. 11:31

삼지구엽초 번식 및 재배기술


강원도농업기술원 북부농업시험장

김 영 진

일반특성


식물명 : 삼지구엽초

과 명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학 명 : Epimedium koreanum NAKAI.

영 명 : Barrenwort



생약명 : 淫羊藿

이 명 : 조선음양곽(朝鮮淫羊藿),

양곽엽(羊藿葉), 선령비(仙靈脾),

방장초(放杖草), 천량금(千兩金),

강전(剛前), 닻꽃

용도 및 이용


용도 : 관상용, 약용(강장,강정,이뇨,음위,창종,건망증 등)

이용 : ?전초달임약-척수의 반사기능을 높여 정액의

분비가 늘고 남근의 혈액량을 증가

시켜 발기력을 강하게 한다.

?선령비주 - 중풍에 의한 반신불수에 전초 또는

잎사귀를 말려 술에 담가서 사용하며

저혈압증, 당뇨병, 심근경색에도 좋다.

?음양곽차 - 경엽을 달여서 차대신 마시면 신체

전체의 혈류가 좋게되고 신진대사가

왕성하게 되며 활력을 불러 일으킨다.

성상과 분포


? 삼지구엽초는 매자나무과 삼지구엽초속의 다년생

초본이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있으며 전세계적

으로 수십여종이 분포하고 있음

? 초장이 30㎝ 내외로 줄기의 가지가 3개로 1가지에

3개의 잎이 있어 삼지(三枝)구엽(九葉)초라 함

? 4~5월에 황백색의 꽃이 피며 그 모양이 밑을

향한 닻양과 같아 닻풀이란 이름도 있으며

6월에 종자가 여문다.

? 종자 크기는 길이 4~5㎜, 폭 2~3㎜이며 뿌리는

구불구불 옆으로 뻗으며 잔뿌리가 많다.


? 잎의 길이는 7~13㎝, 폭은 5~8㎝정도이며 잎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 우리나라 대부분의 산지에 자생하나 주로 경기,

강원 중북부지역 중심으로 주산지를 이루고 있음

? 우리나라와 중국은 약용식물로 분류하며 미국,

유럽 등은 음지의 지피식물로 이용하며 일본은

다양한 화형과 화색을 품종개량하여 분화용

관엽식물로 이용하고 있음

※ 강원도 영동지역 등 일부지역에서 유사종

(산꿩의다리, 연잎꿩의다리 등)을 오인하여

삼지구엽초로 판매하고 있음

자생지 환경


? 표 고 : 100~400m ? 방위각 : 서북~동북간

? 경사도 : 10~4

? 토 양 : 양토~사양토(표면 - 부엽 10㎝정도)

? pH : 4.5~5.8

? 유기물함량 : 3.6~13.0%

? 광투과정도 : 노지대비 3.5~12.5%

? 우점식물

교목층-신갈나무,굴참나무,물박달나무,소나무

관목층-개옻나무,두릅나무,생강나무,산벚나무

초본층-참취,큰기름새,고사리,둥굴레,선밀나물

삼지구엽초 번식기술


1. 실생번식

노천매장 250일후 20℃에서 출아

- 출아율 : 88% - 출아일수 : 8일



- 노천매장 100일 - 노천매장 200일

〈배 발육형태〉



〈꼬투리 및 종자형태 실생묘 생육상황〉


2. 분주

가을에 성묘의 뿌리 나누기

- 대량 종묘생산 불리

3. 삽목번식(근삽)

근경을 5㎝ 내외로 절단하여 삽식

→ 뿌리길이가 길수록 생육은 좋으나

번식효율상 5㎝ 내외가 효과적임

(추식 : 10월 중순, 춘식 : 3월 하순)

4. 조직배양

염농도 : 1/2MS배지

치상부위 : 엽>줄기

생장조정제 : NAA 0.5와 TDZ 0.005㎎/ℓ

삼지구엽초 재배기술


1. 휴면성 검정

5℃ 이하 저온 45일 이상 경과되어야 생육이 양호함

(중부이남지방은 저온요구도 부족)

2. 월동피복효과






※ 짚피복 : 삼지구엽초 월동기 피복효과 대체

3. 생장변화 특성(근삽시)





※ 지상부 생장(근삽후 60일 까지)이 먼저 전개되고

그 이후 지하부 생장이 생육기간 동안 진행됨



4. 차광재배

반음지성 식물로 재배시 70% 이상의 차광이 필요

차광시기 : 새싹이 출현되기전 조기차광하는 것이

양호함



<차광시기별 근삽묘의 생육촉진효과>

5. 유기물 종류 및 시용량





? 유기물 : 우분발효퇴비 2,000㎏/10a

? 질소비료 시용시 활착율이 떨어지며

생육장해(8㎏/10a 시용시 활착율 : 20%)

6. 적정 채취시기





※ 9월 중순이후 채취시 6월에 비해 품질이

좋고 수량이 4.5배 이상 증가됨


7. 병해충

? 병해발생은 문제되지 않음

? 충해 : 유엽기 굴나방의 피해 발생

- 발생성기 : 5월 상,중순(2회 발생)

- 유충길이 : 8~12㎜






<굴나방 유충의 식해모습과 피해엽>

성분분석


? 지표성분 : 이카린(Icariin)

? 채취시기 및 부위별 지표성분함량 비교

(단위: %)

자생지

채취시기

및 부위별

철원

(문혜리)

양구

(도촌리)

춘천

(덕두원)

중국산

6월

줄기

0.257

0.065

0.282

0.059

0.177

0.065

잎 : 0.130

9월

줄기

뿌리

0.319

0.036

0.027

0.410

0.033

-

0.179

0.026

-


※ 중국산은 ’97년 경동시장에서 구입

※ 국내산(2.5배)〉중국산, 6월〉9월, 잎〉줄기〉뿌리

현황 및 전망


? 수입현황 : 최근 5개년간 78만불(년간 200톤)

→ 중국, 북한에서 수입

? 수입가격 : 1근(600g)-565원(최근 5개년간)

? 판매가격 : 국내산 - 18,000원(600g)

중국산 - 3,000denjs 내외(600g)

? 수요현황 : 기능성 드링크제 및 의약품

(자황, 만강보액, 활원, 원비-F 등)

한약방 약재

삼지구엽차 - 티백포장으로 판매

건강제품 - 음양곽엑기스, 개소주 등

기타 - 관광지 등에서 건엽판매

? 전망

- 건강에 대한 관심고조로 수요량이 증가하나

재배농가가 없어 야생종 채취 및 수입에 의존

- 인건비 상승과 자생지 훼손에 따른 채취량 감소

- 수입산은 품질이 떨어져 고품질 국내산을 선호

- 행정규제 완화시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가능

: 전통주 등 고부가가치 가공품 생산 필요

→ 행자부 규제개혁위원회에서 규제해제 의결

(2000년 4월 7일, 하반기 시행예정)

- 병해충에 강하고 재배시 노동력이 적게 들어감

- 초기 차광시설 투자비용 소요

- 다양한 상품개발 필요 : 분화용, 화단장식용 등

다음검색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