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깽이(섬쑥부쟁이)나물의 재배 및 용도
부지갱이나물의 특징
울릉도와 일본에 자라는 다년초로, 울릉도에서는 ‘부지깽이나물’이라고 부르고 산채(山菜) 또는 재배하여 나물로 먹거나 특산품으로 판매한다.
근경은 옆으로 뻗고 굵으며 잔털이 있고 위쪽에서 가지치며, 높이는 50~150cm이다.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고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끝에 산방화서로 달리며 두화의 지름 약 1.5~2.5cm이고 화경은 길이 5~20mm로 갈색 털이 있다.
섬쑥부쟁이의 지상부는 쑥부쟁이(A.yomena Makino)의 지상부와 함께 생약에서는 산백국이라고 하여 소염과 천식을 가라앉히는데 사용하였다. 어린 잎과 줄기는 나물로 이용한다.
우리나라에는 약 260여 종의 국화과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종자번식이나 포기증식 즉 분주에 의하여 번식이 되고 있다.
채취가 가능한 시점의 부지갱이 모습
▷ 부지갱이 나물의 재배
재배적지는 보수력이 있는 토질이 좋으며, 그늘진 곳은 좋지 않다.
씨와 포기 나누기로 번식하며 씨는 가을에 채종한 후 다음해 봄에 뿌리면 쉽게 발아한다.
포기나누기는 뿌리를 5~6㎝ 길이로 잘라 눕혀 묻는 뿌리꽂이 방법을 이용하며 5㎝ 깊이로 묻으면 부정아가 나와서 활착한다.
가을에도 가능하나 이른 봄 싹트기 전에 활착이 잘되며 15㎝ 간격으로 심는다.
울릉도에서는 소득 작물로 개발되어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데 밭에서 재배할 경우에는 연간 1~2회 수확되며 가을에 전초는 가축사료로 이용한다.
재배 관리, 병충해 방제 등 소요 노동력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고 소득이 높아 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가을에 하얀 꽃을 피우는 부지갱이 모습
▷ 부지갱이 나물의 용도
부지갱이 나물은 전국에 자생하며 갯쑥부쟁이는 해변가에 자생하고 있으나 섬쑥부쟁이는 울릉도에 집단으로 자생하고 있다. 근경은 옆으로 뻗고 굵으며 잔털이 있고 위쪽에서 가지 치며, 높이는 50~150㎝이다.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고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끝에 산방화서로 달리며 두화의 지름 약 1.5~2.5㎝이고 화경은 길이 5~20㎜로 갈색 털이 있다.
매년 12월 말부터 다음해 3월 초까지 눈속에서 자란 부지갱이를 수확하여 서울 등 대도시로 출하하는데 그 맛과 향이 타지역 산채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수하여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식물 전체를 건조시켜 해열제나 이뇨제로 쓴다. 전초는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천식, 기관지염, 거담, 감기 등에 사용하고 있다.
맛갈스러운 부지갱이 나물 무침
▷ 부지갱이 나물의 재배 가치
울릉도 관광을 다녀온 사람치고 이 부지갱이 나물을 접하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울릉도에서는 집이나 식당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물이 바로 이 부지갱이 나물이기 때문이다. 부지갱이 나물은 맛도 있으려니와 울릉도에서는 지천에 깔려있는 나물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육지에서는 그렇게 쉽게 접할 수 없는 나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하지만, 일반 취나물에 비해서 맛이 뛰어나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날이 조만간 도래할 것이다.
이 부지갱이 나물이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계기는 가수 이장희 씨 덕분이다.
이장희 씨는 현재 울릉도에 거처를 마련하고 1년에 며칠 동안은 울릉도에서 생활을 하고 있다.
울릉도에서 생활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부지갱이 나물을 접하게 되고 그 맛에 반해 TV 인터뷰 때마다 소개를 하다 보니, 육지에서 사는 많은 사람들이 이 부지갱이 나물을 알게된 계기가 된 것이다.
그 동안 육지에 있는 산채 전문점이나 한정식집 등에서는 울릉도로부터 이 나물을 구하는 것이 번잡스럽다 보니 많이 취급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부지갱이 나물을 울릉도에 가서 먹어 본 경험이 있거나 TV를 통해 알게 되면서 91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다 보니 자연스럽게 취급하는 음식점들 숫자도 점점 증가를 하고 있다.
부지갱이나물은 그 향이 강하지 않아서 건체 뿐만 아니라 생채 또한 맛이 훌륭하여 다양한 산나물 요리에 활용할 수가 있다. 또한, 양지와 음지를 가리지 않고 잘 자라는 습성 때문에 재배가 용이하고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 답게 그 꽃의 자태가 아름다워 경관용이나 관상용으로도 판로가 많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
'산약초 재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어수리 재배방법 (0) | 2020.05.10 |
---|---|
하얀 민들레로 억대 귀농신화 쓰는 윤시현씨 (0) | 2020.05.04 |
병풍취 재배방법 (0) | 2020.04.28 |
칠해목효능 (0) | 2020.04.26 |
봄에 일찍먹는 전호 재배방법 (0) | 2020.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