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추의 효능 ![]() ![]()
참산부추 분류 백합목 > 백합과 > 부추속 꽃색 : 자주색 학명 : Allium sacculiferum Maxim. 개화기:9월, 8월, 7월 분포지역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꽃대는 높이 60cm 잎 : 잎은 2-3개가 근생하며 밑부분이 꽃대를 둘러싸고 편평하지만 하반부 뒷면에 주맥이 돌출한다. 꽃: 꽃은 7-9월에 피며 꽃대는 높이 60cm로서 끝에 우상모양꽃차례가 달리고 꽃차례는 지름 3-4cm이며 꽃자루는 길이 10-12mm이다. 화피열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5mm, 폭 3mm로서 적자색이다. 포는 2개이고 둥근 달걀모양으로서 예두이다. 수술은 6개이고 꽃잎보다 길며 수술대 사이에 뾰족한 소돌기가 있고 암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뿌리 : 비늘줄기는 난상 타원형이고 지름 1-1.5cm로서 외피겉에 섬유가 남지 않으며 2-3개의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생육환경 : 산지에서 자란다.용도: 비늘줄기와 어린 순은 식용으로 한다. ![]()
![]()
산부추 잎 줄기 갓올라온 꽃봉오리, 꽃봉오리, 꽃, 열매,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JDM 촬영 및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건위작용, 콩팥 기능 항진작용, 열을 내리는 작용, 소변을 참지 못하거나 자주 보는 사람에게 유효, 건위개위, 보신축뇨, 비위기허, 음식감소, 신허불고, 소변빈삭, 항균소염, 창, 옹, 절종, 화농성질환. 갑상선질환, 노인의 허약체질을 다스리는 산부추 산부추는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며 8~9월에 꽃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각처와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도 자란다. 부추와는 달리 둔하게 세모지면서 끝이 꼬이는 것이 특징이다. 식물체에서 파와 비슷한 매운맛과 마늘 냄새가 난다. 8~9월에 30~60cm의 꽃줄기 끝에 붉은 보라색 꽃이 여러 개가 둥근 공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결실기는 10월이다.
2. 콩팥 기능을 항진시키므로 소변을 참지 못하거나 자주 보는 사람에게 유효하다. 미약하지만 열을 내리는 작용도 한다.] 효능: 항균소염(抗菌消炎).
황화알리신은 마늘 외에 양파나 파에도 함유되어 있다. 마늘, 파 등은 셀레늄과 황화알리신, 두 성분의 복합작용을 통해서 유독물질인 납, 수은, 주석, 카드뮴, 비소 등을 제거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시골 농촌 사람들은 산에 산나물이나 약초를 채취하러 갈 때 고추장이나 된장을 준비해가지고 다니다가 봄에 갓 올라온 산부추를 발견하면 맛있는 먹거리로 즉시 뽑아 뿌리쪽은 겉껍질을 벗겨 가지고 된장으로 즉석에서 찍어 먹으면 그 맛과 향이 은은하면서 또다른 먹거리의 맛과 향에 취해 행복을 느낄 수 있다. 필자도 곧잘 산에 자라는 부드러운 밀대 등을 꺽어 먹으면서 산부추를 날로 씹어 먹으면서 산을 오르기도 한다.
참산부추의 효능 해엽(薤葉) : 소화(消和), 거담(祛痰), 폐기천급(肺氣喘急, 肺氣가 虛하여 氣가 거슬러 올라 헐떡거리면서 급해지는 병증)을 치료한다. ♥ 곽란(癨亂), 심복장통(心腹脹痛), 번만(煩懣, 가슴속이 답답함), 단기의 증에 토하지는 않는 경우 : 달래 1되를 잘게 썰어 물 3되에 넣어 1되가 되도록 달여서 복용한다. (보방) ♥ 곽란(癨亂), 전근(轉筋), 복통부지(服痛不知) : 소산과 소금을 반씩 찧어 소량을 배꼽에 넣고 그 위에다 뜸을 5-7장 뜬다. (성혜방) ♥ 개선(疥癬) : 달래 삶은 물로 씻거나, 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 상한(傷寒) 및 유행성(流行性) 온병(溫病)과 두통(頭痛), 장열 (壯熱, 신열), 맥대(脈大)하게 된 첫날의 치료 : 소산 1되를 찧어 즙을 3홉 얻어 돈복한다. (보결주후방) ♥ 복수(腹水) : 달래뿌리 30-40개를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짓이겨 잘 으깬 것을 창호지나 헝겊에 발라 양쪽 발바닥에 붙이고 붕대로 감는다. 10시간 뒤에는 물기가 소변이나 대변으로 배설되어 나온다.이것을 매일 2회 4-5일 계속하면 그 효과가 신효(神效)하다. ♥ 5년, 10년 되는 참을 수 없는 심통(心痛) : 달래를 진한 식초로 달여 배가 부르도록 복용하되 소금을 넣지 않는다. (병부수집) ♥ 찌르는 듯한 급성 음통으로 비 오듯 땀이 나는 증상 : 소산, 구근, 양유근 각 600g, 이상 3가지 맛을 함께 태우면서 술을 부어 나오는 열기를 쏘인다.(천금방) ♥ 악핵(惡核, 살결 속에 응어리가 지는 병)이 종결되어 풀리지 않는 증상 : 오수유(吳茱萸), 소산 등분을 찧어서 붙인다. (보결주후방) ♥ 사교상(蛇咬傷) : 소산(小蒜)을 찧어 즙은 마시고 찌꺼기는 창부 (瘡府)에 붙인다. (보결주후방) ♥ 식도암(食道癌), 월경불순(月經不順), 자궁출혈子宮出血) : 생 뿌리를 먹거나 태워서 가루 내어 먹는다. ♥ 정력증진(精力增進) : 인경과 수염뿌리 200g을 물에 씻어 물기를 뺀후 소주에 담가 15일쯤 지나서 먹는다. ♥ 타박상(打撲傷) : 뿌리와 줄기를 찧어 밀가루와 반죽해 붙인다. ♥ 협심통(狹心痛) : 달래에 식초를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 |
'약초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하의 효능 설사, 치통, 복통, 소화불량외 (0) | 2020.06.27 |
---|---|
뼈를찌게하는 약초 접골목 ( 딱총나무, 말오줌나무 ) (0) | 2020.06.27 |
복분자의 효능(성기능)| 성기능강화약재 (0) | 2020.06.19 |
개복숭아 효능 (0) | 2020.06.18 |
개머루 /덩굴 효능 (0) | 2020.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