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방

금을 먹고 자란다는 "속세풀"을 아시나요

고재순 2017. 1. 23. 11:34

관다발식물 속새목 속새과의 상록 양치식물(속새).

 

 

학명Equisetum hyemale
분류속새과
분포지역

한국(제주 및 강원 이북)·일본·캄차카·중국 동북부·시베리아·투르키스탄·히말라야·

유럽 및 북아메리카

서식장소습한 그늘
크기높이 30∼60cm

 

 

습한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이고 짙은 녹색이며,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모여 난다.

뚜렷한 마디와 능선이 있고 잎은 퇴화하여 잎집같다.

잎집에 톱니처럼 생긴 것이 잎이며 10∼18개씩이다.

잎집의 밑부분과 톱니는 갈색 또는 검은빛을 띄운다.

포자낭 이삭은 원줄기 끝에 달리고 원뿔 모양이며 녹갈색에서 황색으로 변한다.
능선에
규산염이 축적되어 딱딱하므로 나무의 면을 갉아내는 데 쓴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장출혈과 지혈제로 사용한다.

속세의 지상부.

주로 안과의 급성염증에 쓰이며, 만성적으로 눈이 충혈되고 눈물이 나며 뭔가가 가린 듯한 느낌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눈의 기능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효능▶①풍열로 인하여 눈이 충혈되거나 눈곱이 끼고 눈동자에 백태가 끼며

시력이 떨어지는 증상에 쓰인다.

급성결막염 초기나 예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②외감성으로 인후가 붓고 아픈 증상에 쓰인다.

③화독(火毒)으로 인한 종기를 다스린다.

④지혈작용이 있어 대변출혈,치질 출혈 등에 지유를 가미하여 사용한다.

외상출혈이나 자궁출혈, 월경과다, 하혈, 급성이질, 탈항 등을 다스린다.

약리작용▶혈압강하 작용,소엽작용,수렵작용,이뇨작용,심장기능강화 작용,

관상동맥 혈류촉진 작용이 입증되었다.

 

주치증상

<가우본초(嘉祐本草)> : 눈병을 치료하며, 눈동자 안에 군살이 돋아 시야를 가리는 증상을 치료하고

살이 뭉치는 것을 없앤다.

간담(肝膽)을 돕고 혈변을 치료하고 이질을 멎게 할 뿐만 아니라

부인들의 월경이 끊이지 않는 증상과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을 치료한다.

이시진(李時珍) : 살에 사기(邪氣)가 뭉친 것을 풀고 눈물을 그치게 하며 지혈작용이 있다.

풍습(風濕)의 사기를 제거하고 하복부의 극심한 통증과 탈항(脫肛)을 치료한다

속세풀이 많은곳엔 금 성분도 많다는 뜻이 되나요?

 

'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기름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법  (0) 2017.01.23
생활상식 40가지  (0) 2017.01.23
"단짠" 에 길들여진 현대인을 위한 건강식 "양배추 죽"  (0) 2017.01.18
진들찰  (0) 2017.01.13
우엉의 효능//우엉차의 효능  (0) 2017.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