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육상황에 따라 1~2회 실시하면 왕성한 생육을 유도하여 수량을 높일 수 있다.
도복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생육이 부진할 경우는 순지르기를 하면 오히려 수량이 감소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순지르기는 반드시 7월 10일 이후를 넘기면 안된다.
7월10일이 지나서 순지르기를 하게 되면 콩 꽃이 피지 않아 수확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1차 순지르기는 콩 밭에서 콩의 본엽이 4장 가량 되었을 때 실시한다.
1차 순지르기 할 때는 콩 포기의 가장 위에 새로 나오는 순 1장을 손끝으로 따주면 된다.
※2차 순지르기는 가위로 잘라내거나 예취기로 쳐내준다.
7월 초순경 콩의 상태를 보아 콩잎이 무성해 졌다면 2차 순지르기를 실시한다.
이때 콩 잎을 3∼4장은 남겨두어야 한다.
콩 잎을 통해 광합성을 지속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3~4장을 제외한 부분은 콩 줄기를 손으로 부여잡고 땅에서 15cm 정도만 남겨둔다.
한편, 이모작 재배일 경우 생육기간이 그만큼 짧아지기 때문에 1번만 순지르기한다.
출처 : 연두자립마을
글쓴이 : 단이 원글보기
메모 :
'작물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야생화 의 노 하우 (참 고) ♤♣ (0) | 2012.07.05 |
---|---|
[스크랩] 연꽃 (0) | 2012.07.05 |
[스크랩] 무경운 이모작 건답직파 (0) | 2012.06.29 |
[스크랩] 농작물 파종시기 (0) | 2012.05.28 |
[스크랩] 조선 호박 재배하는 방법입니다 (0) | 201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