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 재배
□ 산약(山藥)
- 식물명 : 마, 참마(마과, Dioscoreaceae)
- 생약명 : 산약(山藥)
- 학명 및 기원식물 : 마(Dioscorea batata Decaisne, Dioscorea opposita Thunb.)
또는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erg)
- 이용부위 :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담근체)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
가. 식물의 특성 및 품종
(1) 재배식물의 성상
<그림 1> 1. 암꽃, 2. 수꽃, 3. 주아, 4. 삭과
마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덩굴성 식물이며 덩굴줄기의 길이는 2m 안팎이고 뿌리(괴근)는 육질이고 땅속으로 깊이 들어간다. 잎은 대생(對生) 또는 윤생(輪生)하며, 삼각형 또는 세모진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은 심장저이며 양쪽이 불쑥 나오는 경우도 있다.
줄기, 엽병과 엽맥에 자줏빛이 돌며, 엽액에서 주아가 생긴다.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이며 자웅2가화(雌雄二家花)로 엽액에서 수상화서가 1~3개씩 나오며 꽃은 곧게 서고 화경이 없는 흰 꽃이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은 밑으로 처지고 몇 개의 암꽃이 달리며 화피는 6개의 열편(裂片)으로 되어 있다. 열매는 10월에 성숙되며 삭과는 3개의 날개가 있고 둥근 날개가 달린 종자가 들어 있다. 괴근은 긴 것과 짧은 것, 둥근 것이 있으며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한다. 토성에 따라 모양이 다소 차이가 있다.
(2) 동속식물
암마는 전 세계에 300~600여 종이 있으며,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많고 일부만이 온대지방에 분포한다. 마 중에는 다이오스코린(Dioscorine)이라는 강한 독성의 알칼로이드(Alkaloid) 화합물이 있어 식용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것이 많다.
<그림 2> 산약 열매
국내 재배마는 자생종과 도입종의 구입이 분명하지 않으나 참마(D. japonica, D.opposita)가 자생종이고, 마(D. batata Decaisne)는 중국이 원산으로 알려지고 있다. 마는 덩이뿌리의 모양에 따라 장마, 단마, 환마(D. opposita forma tsukuneimo)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장마는 긴 원통형이며, 단마의 모양은 일정 하지 않으나 주로 원뿔형이고, 환마는 공 모양이다. 국내자생 마 중에는 둥근마(D. bulbifera)와 각시마(D. tenuipes)가 식용으로 이용되고, 도코로마(D. tokoro)는 <대한약전외생약한약규격집>에 비해(萆薢)로 등재 되어 있는 약용식물이다. 부채마(D. nipponica), 단풍마(D. quinqueloba), 국화마(D. septemloba)는 식용으로 이용할 수 없다.
(3) 육성품종의 특성
(가) 마1호
경북농업기술원에서 수집종을 영양계선발로 1995년에 육성한 품종이다. 괴근의
형태가 병모양이며 길이가 30~40cm 정도의 장마이다. 영여자 착생수가 많고,
엽색이 진한 녹색인 것이 특징이다. 탄저병, 시듦병에 강하고 괴근의 분기가 적고
괴근중이 무거워 상품성이 높다.
(나) 기타 재배종
도입종으로 괴경이 둥근 형태의 둥근마와 지방재래종으로 괴경이 긴 장마가 남부지역의 사양토에서 일부 재배되고 있으나 품종으로 등록되지 않았다.
(4) 주요성분 및 이용
주요성분은 사포닌(Saponin), 뮤신(Mucin), 알기닌(Arginine), 알란토인(Allantoin),
아밀라아제(Amylase), 콜린(Choline) 등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보비위
(補脾胃), 익폐신(益肺腎), 자양(滋養), 소화촉진(消化促進), 지사(止瀉), 거담(祛
痰)작용 등을 한다.
나. 재배환경
(1) 토양
토양은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되며 유기질이 많은 양토~사양토가 좋다. 양토
나 사양토에서는 분기마가 괴근 모양이 좋아 상품마를 생산할 수 있다. 물빠짐이
나쁘면 괴경이 부패하기 쉽고 찰흙이 많은 곳에서는 괴경의 비대가 나쁘고 수확
하는데 노력이 많이 든다. 또한 자갈이 많은 땅에서 재배하면 괴경의 생육과 모양
이 좋지 않아 상품성이 떨어진다. 토양의 적정 산도는 pH 4.5~5.2 범위로 산성
토양에서 적응성이 강하다.
(2) 기후
산간지대를 제외한 전국지역에서 재배가능하며 햇볕이 잘 드는 양지가 적당하다.
마는 생육기간이 길수록, 장일보다는 단일에서 괴경의 비대가 잘되고 8, 9월의 주
야간 기온교차가 큰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또한 남부해안이나 제주도 등
남부 도서지방에서는 조기월동이 가능하므로 종근이나 영여자를 가을에도 심을
수 있지만 중부 이북 지방에서는 월동이 안전하게 되지 않으므로 종근이나 영여
자를 저장하였다가 심어야 한다.
다. 재배법
(1) 번식
번식은 덩이뿌리 및 주아를 이용하여 영양번식을 주로 한다. 종자발아는 잘되지
만 암수딴그루의 타식성이므로 잡종 집단의 특성이 불균일하고 육묘재배가 불가
피하여 일반재배에서는 이용하지 않는다.
(가) 씨마 번식
<그림 3> 씨마로 사용하는 덩이뿌리
덩이뿌리의 눈이 붙어 있는 몸통 윗부분을 잘라서 씨마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수확 후 바로 준비하여 저장한다. 씨마는 클수록 새로운 잎줄기와 뿌리의 초기 생육에 좋고 덩이뿌리의 수확량이 많아지지만 지나치게 크게 자를 경우 씨마의 양이 적어진다. 씨마의 크기는 밀식 재배할 때에는 약10cm 정도로 작게 잘라서 씨마로 심기도 하는데, 약 100g 이상의 크기로 자르지 않는 것이 좋다. 덩이뿌리를 절단한 후에는 병균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서 1~2일 말려 상처가 치유된 후 씨마로 사용한다.
덩이뿌리의 몸통부분을 잘라서 씨마로 사용할 경우에는 가온이 가능한 온상에서
싹을 틔워 파종한다. 파종일로부터 약 한달 전에 뿌리를 약 50~60g 정도로 자르
고 자른 면을 말린 다음 온상에서 싹을 틔운다. 씨마가 서로 닿지 않을 정도로 배
열하고 모래로 3~5cm 덮어준다. 최아 온상의 온도를 23~25℃로(최저 15℃ 이
상) 유지하면서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물을 뿌려 준다. 새싹이 0.5~1cm 정도
자랐을 때 밭에 이식한다. 최아 된 싹은 떨어지기 쉬우므로 주의해서 다루어야 한다. 보온과 보습을 위하여 비닐터널을 만들거나 비닐하우스 내에 온상을 설치하
는 것이 좋다. 싹을 틔워서 이용할 수 도 있다.
(나) 주아(영여자)
<그림 4> 마의 영여자
주아는 주로 밀식 파종하여 이듬해에 심을 씨마 생산을 목적으로 이용하며, 작은 덩이뿌리를 생산하여 당년에 식용과 산약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안전월동이 가능한 남부지방에서는 가을이나 이듬해 봄에 심을 수 있다. 중부 이북지방에서는 가을파종을 하면 겨울에 동해를 받기 쉬우므로 이듬해 4월 상순~중순
에 묘포에 파종한다.
비료는 10a당 질소 15kg, 인산13kg, 칼륨 15kg을 뿌리고 깊이갈이하며 흙을 고른 다음, 넓은 이랑에 점뿌림 또는 흩어뿌림으로 하거나 줄뿌림으로 파종한다. 4월 상순~중순에 주아를 파종하고 가을에 수확하여 저장하였다가 이듬해에 씨마로 이용한다. 10a당 주아 200kg을 두둑너비 80cm, 골 사이 40cm로 준비한 이랑에 5열 줄뿌림 파종할 경우 20g이상의 주아 씨마 약 55,000~60,000개를 수확할 수 있다.
(2) 거름주기
본밭의 시비량은 10a당 질소 43kg, 인산 28kg, 칼륨 32kg를 시용하되 기비와 추
비로 나누어 시용한다. 마의 초기 생육은 씨마의 저장양분에 의존하며, 7월 상~
중순 이후에 본격적으로 뿌리가 토양양분을 흡수하므로 이 시기를 기준으로 추비
를 준다. 추비량은 전체 시비량 중에서 1차는 6월 하순에 질소 13kg, 인산 11kg,
칼륨 10kg을, 2차는 7월 중·하순경에 질소와 칼륨을 각각 11kg을 준다. 퇴비는
10a당 3,600kg 정도 시비한다.
(3) 경운
마의 뿌리는 토양 속으로 깊이 자라는 특성이 있어서 밭을 깊이 갈아서 토양을 부드럽게 할수록 뿌리가 길게 잘 자란다. 이러한 마의 특성과 수확할 때 마의 크기등을 고려하여 밭을 경운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산약의 원료로 이용하는 마는 쟁기로 갈고 쇄토한 후에 이랑을 높게 만들어 배수가 잘되도록 한다. 파종은 조밀하게 하여 비교적 가늘고 짧게 자라도록 재배하고 있다. 생식용으로 이용하는 마는 대부분 굵고 길게 자라도록 재배하기 위해 120cm까지 심경이 가능한 회전식 트렌처(일명 물레쟁기)로 경운한다.
(4) 파종
남부 지역은 3월 하순, 중북부지역은 4월 상순부터 파종한다. 씨마의 재식거리
는 작은 마를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60~90cm의 넓은 두둑에 10×10cm정
도의 간격으로 씨마를 파종하고, 큰 마를 생산하려면 이랑 간격 60cm에 씨마를
20~30cm 간격으로 파종한다. 파종 후 비닐이나 짚으로 피복하면 잡초의 발생
억제와 토양의 수분관리는 유리하지만, 강우량이 많을 때는 배수가 불량하거나,
과습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남부해안이나 제
주도 등 월동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종서나 주아를 가을에도 심을 수 있으나 중부
이북 지방에서는 안전 월동이 되지 않으므로 종서나 주아를 갈무리하였다가 봄
에 심어야 한다.
(5) 본밭 관리
(가) 지주 세우기
<그림 5> 덩굴 유인을 위한 지주 세우기
싹이 나오기 전에 지주를 세워 덩굴을 유인해 준다. 지주재배는 제초, 약제 살
포, 시비 등의 재배관리를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잎의 수광(受光)면적을 넓게
하여 동화양분축적 및 뿌리비대를 촉진하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재료나 노력을 많이 필요로 하며 태풍이나 강풍으로 지주가 쓰러질 경우 줄기가 상처를 입으며, 재배포장의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이랑의 통풍이 나빠지는 등의 결점도 있다. 덩굴이 엉키지 않도록 지주는 높게 세워주는 것이 좋으며, 주로 2m 내외의 곧은 나무, 대나무, 쇠파이프 등을 세워주거나, 활죽이나 강철사를 이용하여 반원형태로 지주를 세워 덩굴을 유인 한다.
(나) 관수
덩이뿌리의 형성 및 비대기에 토양수분이 부족하면 뿌리 발육은 진행되나 비료의
흡수량이 낮아져 뿌리비대가 억제되고 덩이뿌리의 모양이 불규칙하여 상품가치
가 떨어진다. 지속적인 토양수분 부족은 새로 형성된 덩이뿌리의 생육이 정지되
어 수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덩이뿌리의 형성 및 비대기에 가뭄피해가 우려되면
관수하여 생육이 억제되지 않도록 한다. 관수용 물은 농업용수 이상이어야 한다.
관수 작업은 한꺼번에 다량의 관수나 오후의 관수는 될 수 있는 한 피한다. 단, 사질토에서는 충분하게 짚을 깔아 태양에 의한 표토층 건조 시 발생하는 토양내 건습의 차이를 줄여주는 것이 좋다. 너무 오래 관수를 하면 햇마는 수분 과잉으로 부패하거나 잎이 조기에 낙엽이 되므로 물이 고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9월 하순 햇마의 최대 비대기가 지나면 이랑 관수를 멈추고 물이 고이지 않게 배
수를 철저히 한다.
(다) 분기마 억제방법
분기마는 덩이뿌리에 가지뿌리가 생긴 것을 말하며 그 원인은 ① 분기마를 씨마로 이용하였을 때, ② 뿌리의 신장하는 부분에 돌, 굳은 퇴비나 점토뭉치가 있을 때, ③ 비료를 포기 가까이에 뿌렸을 때, ④ 강우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적을 때, ⑤ 초기의 측지세력이 주지의 세력과 비슷할 때 등이다. 상품성이 좋은 마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덩이뿌리의 변형을 초래하는 원인을 제거하고 재배에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그림 6> 덩이뿌리에 생긴 가지뿌리
(라) 잡초관리
잡초가 발생되면 마의 생육이 크게 억제될 수 있으므로 제때에 잡초를 제거해 주
어야 한다. 마 밭에 사용할 수 있는 제초제는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으
로 제초한다. 넓은 두둑에 조밀하게 파종하여 재배하는 경우에는 덩굴이 무성해
진 이후에는 잡초의 발생이 크게 감소되지만, 파종 간격을 넓게 파종하여 재배하
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잡초의 발생이 많고 마의 생육 후기까지 지속된다. 파종
후에 볏짚 등으로 덮어주거나, 유공비닐 피복 후에 주아를 파종하여 재배하면 잡
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라. 수확 및 조제
(1) 수확 시기
햇마의 표피 색은 토양의 종류나 수분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비대기에 황백
색을 띠고 있던 마도 성숙함에 따라 황갈색, 암갈색, 흑갈색으로 변해 간다. 잎은
성숙기 초기에는 녹색이나,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퇴색하여 마르기 시작한다. 수
확은 11월 중순경 부터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성숙 초기인 9월 말경부터 시장가
격에 따라 조기 수확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시기는 표피가 황백색~황갈색으
로 쓴맛이 강하고, 갈아 놓으면 쉽게 변색하기 때문에 표피색이 암갈색~흑갈색
이 될 때를 기다려 수확하는 것이 좋다. 동해(凍害)의 우려가 없는 남부지방에서
는 3월경까지 수확이 가능하다. 주아는 9~10월 서리가 내리기 전에 수확하여 11
월말~12월초에 저장한다.
(2) 수확 방법
수확 시 마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줄기를 10~20cm 정도 남기고 줄기와 지주를
정리한다. 병해충의 예방을 위하여 잎·줄기는 소각한다. 뿌리가 깊지 않은 경우
거릿대로 수확할 수 있으나 굴삭기를 이용하면 수확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덩이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하며 특히 긴 마는 부러지기 쉬우므로 깊이 파야 한다. 덩
이뿌리의 표피에 상처가 나면 저장성이 좋지 않으므로 수확할 때 주의해야 한다.
(3) 생마 보관방법
생마로 저장할 때는 수확 후 이듬해 씨마로 사용할 윗부분을 잘라 따로 저장하
고, 상처가 있는 부분은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진 곳에 2~3일 예비 저장하여 상
<그림 7> 생마의 보관
처가 아문 다음 저장한다. 온도 4℃ 내외의 저온저장고를 이용하면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다. 저장시설이 없는 경우 서늘한 곳에 보관하거나, 물이 고이지 않
고 배수가 잘되는 밭에 묻어두면 이듬해 봄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참고> 산약 절편씨마 및 씨마용 괴경 저장방법(2015 영농활용자료)
○ 산약 절편씨마를 통해 씨마를 생산하거나 씨마용 괴경을 생산하기 위해 수확된 절편을 바로 파종할 수 없는 경우 이들은 수분이 많아 저장하기 어려우며 저장 온도가 15℃ 이상이면 곰팡이 발생 및 부패가 급격히 증가함
○ 산약 절편씨마 및 씨마용 괴경을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를 충진제로 하여 10℃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할 경우 부패율 감소시켜 3개월 이상 저장 가능
○ 산약 절편씨마 및 씨마용 괴경을 저장하는 경우 산약 절편씨마를 10℃ 이하의 온도에서 저장하고 저장 전 DF-100을 처리하면 절편씨마의 부패비율을 감소시키고 3개월 이상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아율도 크게 증가함
○ DF-100: 식품보존을 위해 상용화 되어있는 보존제로 자몽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Ascorbic acid, Sterols, Dehydro ascorbic acid, Tocopherols, Palmitic acid, Related Ammomia NH, Methyl-Hydroxy groups 등을 포함하여 곰팡이의 세포막의 투과성 약화와 세포 호흡작용의 억제를 도모함으로써 미생물의 살균기작을 가지고 있음.
| |||
(A) | (B) | (C) | (D) |
서로 다른 저장 온도에서 식품보존제 DF-100 처리 유무에 따른 산약 절편씨마의 부패. A and C, Control; B and D, DF-100 treatment; A and B, storage temperature of 0 ℃; C and D, storage temperature of 10 ℃ |
(4) 생약조제 및 관리
마의 잔뿌리를 제거하고 대칼 등을 이용하여 껍질을 벗긴 후 햇볕이나 건조기에 말린 생산약과 수증기로 살짝 쪄서 말린 증산약으로 구분하며, 대부분 찌지 않고 말린 것을 산약으로 이용하고 있다. 껍질을 벗긴 후 썰어서 40℃ 건조기에 말리면 빠르게말릴 수 있다. 건조된 산약은 온도가 낮고 건조한 곳에 저장한다
마. 생약의 특성과 품질
<그림 8> 건조한 산약
원주형 또는 고르지 않은 원주형을 이루고 길이 5~15cm,지름 10~40mm이며 때로는 세로로 혹은 가로로 자른 것도 있다. 바깥 면은 유백색~황색을 띤 흰색이
고 꺾은 면은 평탄하고 분질 또는 각질이며 유백색이다. 질은 단단하며 꺾어지기 쉽다. 거의 냄새 및 맛이 없다.
○ 건조감량 : 14.0% 이하(6시간)
○ 회분 : 6.0% 이하,
○ 산불용성회분 : 0.5% 이하
출처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