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방

[스크랩] [채종]

고재순 2013. 6. 13. 09:31

이번주 수업은 안박사님  강의입니다.

관련 자료를 뒤져봤습니다.

즐감하세요~~

 

 

window.articleViewer1 = new ArticleViewerManager('mainTitleFlash1', { 'width': '739', 'titlemaxnumlines': '5', 'titletext': encodeURIComponent(''+'무 채종농사, 숨어 있는 무 씨앗을 받아내라! '), 'titlefont': 'RixGoM' || 'RixGoM', 'titlesize': '24' || '24', 'titlecolor': '#0100ff', 'titleicon': 'daumview', 'cattext': encodeURIComponent("정책현장 속으로"), 'catfont': 'RixGoM', 'catsize': '12', 'catcolor': '#000000', 'catlink' : 'window.catClickCallback1', 'update_callback': 'window.articleViewer1.resizeFlashViewer' }); window.catClickCallback1 = function() { viewAjaxCateArticle('/_blog/ArticleCateList.do?blogid=08n2r&CATEGORYID=727130&dispkind=B2201','727130'); }

새농이 2012.08.02 15:31

배추채종 농사는 한 달여전쯤 끝나고, 무 채종 농사는 이제야 끝이 나나봅니다.

뜨겁다고 얘기하는 것조차 힘든,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요즘인데요.

우리 동네 채종 작모반에서는 연일 무 씨앗 받아내느라 품앗이가 한창입니다.

가만히 앉아 있어도 짜증나는 판에, 이 뜨거운 날 이 힘든 일을 하시려니

다들 얼굴이 조금은 어두우십니다.

오늘이 벌써 5일째,

더위와 싸우고 먼지와 싸우며 채종농사의 마지막 단계인 탈종에 모두들 신경을 쓰시고 계세요.

무 씨가 가득담긴 무 섶이에요. 콩깍지처럼 생겼는데, 그 속에 무 씨앗이 들어있죠.

포기 져있던 무 섶을 탈종기에 넣으면 이렇게 씨앗이 떨립니다.

탈종이 완료되는 오늘에서야 상반기 채종 농사에 대한 결과도 나오고,

그간 채종 농사 마무리 지으시느라 힘들게 일해오셨는데 간만에 휴식도 취하실 수 있답니다.

먼지 풀풀 날리며 탈종기로 들어가는 무 종자들입니다.

이 기계로 종자들이 들어가면 함께 있던 돌이나 이물질도 걸러내고,

종자만 남게 된답니다.

떨린 씨앗을 한번 채로 걸러중 씨앗만 떨어트려요.

탈종기에서 막 나온 무 씨앗들. 아직은 이물질이 많이 있어요. 계속 떨어줘야해요.

숨어 있던 무씨앗이 이제야 손안에 들어오네요.

무씨가 은근히 크죠?

채종 완료된 종자는 종자회사로 납품되어 소독의 과정을 거쳐 내년 전국적으로 판매가 되겠지요.

우리집은 무채종 농사를 1000평정도 지어서 이 만큼의 씨앗을 받아내었어요,

올해는 가뭄이 심해서 예상만큼의 수확은 아니지만,

그래도 마무리 잘 지어서 기쁜마음이들어요.

농장 마당에 한 번 더 볕에 바짝 말렸습니다.

쌀도 곡식도 아닌 씨앗을 포대에 담아 귀하게 보관하다가 곧 납품합니다.

1kg에 3만3천원한다기에...

한 포대 한 포대가 귀하네요! 하하하~~~

 

 

 

[채종] 무,배추 채종방법입니다| 채종기술
범골총각 | 조회 442 |추천 0 | 2008.10.29. 22:45
//

십자화과 채소의 채종방법입니다

십자화과(Cruciferae) : 무, 배추, 양배추, 코리플라워, 브로콜리

I. 결구배추(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ssp. pekinensis)의 채종?

- 배추는 우리 식생활에서 필수 식품으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채소(야채라 하지맙시다 ; 야채는 일본말임)로

저온에 감응하여 꽃을 피우고 종자를 맺는 종자춘화형 식물입니다

저온에 감응하면 꽃을 피우므로 봄에 재배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였으나

저온에 비교적 둔감한 만추대성 봄배추 품종이 개발되어 일년내내(year-round) 재배하는 시대가 된 것입니다

따라서 재배작형도 통상적인 김장용 가을재배 외에 봄하우스, 봄노지, 평지여름, 고랭지여름 등을 작형이 나눠졌교

이에 적합한 품종도 계속 개발되고 있지요.


1.. 성상

1) 일반적 특성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일년생 초본, 저온에 감응하여 화아가 분화되는 종자춘화형 seed vernalization

type으로, 저온에 감응하여 분화한 화아는 고온 장일에 의하여 추대하여 개화합니다

2) 개화결실

꽃은 총상화서로서 정부에 몰려 개화하며

1일에 2-3화씩 위로 향하여 꽃이 피면서 화서(inflorescence)가 신장하고

자예(암술)의 수정능력은 화합교배의 경우 개화당일을 최고로 하고 전후 약 1주일간 가능합니다.

불화합의 경우는 계통이나 품종에 따라 약간 다르나 일정한 어린 꽃망울(花蕾, flower bud)가

최고의 수정을 나타냅니다.

화분(花粉, pollen)은 타원형을 나타내고 개화익일에는 수정능력이 저하하나

저온 건조한 조건에서는 장기 저장이 가능하고

협과(꼬투리)는 2실로 되어 있으며 1협에 10-20립의 종자가 착생하지요.

종자는 무배유이며 1000립 중은 2.5-3.5g정도, 1리터에 450-650g의 종자로서

구형의 암갈색을 띠고 있으며

발아년한은 3년, 발아적온은 10-35C로서 적응범위가 넓으며 휴면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분만 흡수하면 발아가 되는 겁니다


2. 채종재배환경

1) 토양은 충적층의 비옥한 양토나 점질양토로서 유기질이 풍부하고 배수 및 보수력이 있는 곳이 좋으며

미산성 ~ 약알카리성이 적당합니다

2) 온도 및 일장

생육은 20C내 범위로, 결구는 15-16C내외가 적당하며 온도교차가 크면 결구가 잘됩니다

결구된 것은 저온과 고온에 모두 양배추 보다 약한 편으로 평균기온 23C이상 이면 부패합니다.

결구를 시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계(根系)가 강한 것은 저온에 강하며

영하8C정도에서 동해를 입으며 적설하에서 월동이 가능하답니다.

따라서 남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이 가능하고 그예로 겨율에 나오는 봄동배추가 좋은 예입니다

배추는 종자춘화형식물로서 모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체로 12C이하에서 7일 이상 지나면 화아분화가 되고

분화된 화아는 고온에 의하여 추대가 촉진됩니다

추대 개화는 평균 15C 전후가 좋고 26-27C 이상은 장해가 오므로 주의하시고요.


3. 채종양식

1) 결구모본채종 (head to seed method)

배추종자를 육종할때, 원종유지시 이방법을 스며

이 방법은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자를 증식하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비보다는 생산되는 종자의 유전적 소질에 목적이 있다 보시면 됩니다.

하시고자 하는 품종을, 일반 재배 작형에 따라 김장배추와 같은 방법으로 재배한 다음

보시기에 제일 좋은 배추를 우량 선발 모본으로 선정 후 채종하는 방법으로

늦가을에 가장 우량한 개체를 골라 결구엽을 절제한 다음 하우스에 심어 봄에 꽃이 피면 채종하면 됩니다

육종시에는 뇌수분으로 자식하여 채종하고 고정종의 원종채종시에는 망실 등에서 집단으로 채종합니다.

2) 이식채종

일대잡종 채종시에 많이 사용하며 불결구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개화 결실합니다.

3) 직파채종(seed to seed method)

고정종, 즉 집단선발종의 채종이 이 방식으로 이식채종보다 약 20일 늦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점파하여 3본을 키우다가 1주만 남기고 재식거리는 60 x 20㎝로 재배합니다.

이 방법은 생산비가 가장 적게 드는 채종법으로서 솎음배추 등과 같이

재배시 종자의 소요량이 많은 재배방식에 맞는 품종의 채종에 이용됩니다.


4.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일대잡종

배추는 자가불화합성이용에 의한 일대잡종육성이 주된 육성법입니다


5. 일대잡종종자의 양산방법

1) 혼식방법

이식채종의 경우의 예로 9월 28일 ~ 10월 5일경 파종 육묘하였다면

10월 30일 ~ 11월 10일경 60 x 35cm 간격으로 정식하고

혼식비율은 1:1 - 1:2로 합니다.

내혼계가 비교적 많이 나오는 계통을 한쪽 친으로 쓸 경우는 그 내혼계 많이 나오는 계통을 1로 하고

적게 나오는 계통을 2로 하며,

심는 방법도 내혼계가 많이 발생하는 계통을 적게 나오는 계통으로 둘러싸게 배식하면 좋습니다.

2) 개화기조절

양친의 개화기를 일치시키지 않으면 수정이 불량하여 종자 수량이 떨어지고 내혼계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일대잡종의 채종시에는 양친의 개화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한 개화기 조절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파종기를 달리한다 ; 조생종은 파종을 늦추고 만생종은 앞당기고.

(2) 비료사용 질소질비료 사용으로 개화를 지연시킨다.

(3) 적심하여 개화 지연

(4) GA 100ppm을 추대개시하는 생장점에 처리하면 개화를 7 - 10일간 촉진한다.


II. 무 (Radish, Raphanus sativus L.)의 채종

무도 배추와 같이 김치의 주원료이며 우리의 필수 식품으로 재배작형도 배추와 같습니다


1. 성상

1) 특성과 적지

종자춘화형식물로서 생육단계에 관계없이 저온에 감응하여 화아가 분화되며

그이후는 고온장일에 의하여 추대.개화하게 됩니다.

2) 개화.결실

(1) 품종의 분화

가을무, 봄무, 고냉지여름무, 사철무 등 생태형으로 구별되며

봄무, 사철무는 제1상의 요구도가 높고 여름무는 내서성이 강한 방향으로 선발된 것입니다

품종간 차는 일차적으로 제1상(저온감응상)의 심천, 2차적으로 제2상(고온.장일감응)에 의하며

가을무군은 봄에 파종하면 추대 개화하나 시무(時無) 품종군(品種群)은 봄에 파종하면 추대 않으니 주의하식 바랍니다

(2) 개화결실

개장성의 총상화서, 화경에는 백분이 붙어있고

1일 3화정도씩 위로 피어 올라갑니다.

자방상위의 양성화, 화판은 백색 또는 자적색, 꼬투리---부리모양으로 끝이 뽀족하며,

꼬투리당 1-6립의 종자가 맺히며, 수정능력은 배추와 비슷합니다. 통상적인 발아적온은 15-35℃범위입니다


2. 채종재배환경

1) 토양 및 수분

경토가 깊고 보수력이 있으며 배수양호한 양토 내지 점질양토, pH5.5-6.8

2) 온도 및 일장

생육에는 20℃전후가 적당하며 온도에 대한 반응에 품종간 차이가 큽니다.

화아분화는 12℃이하의 저온에서 일주일 정도 노출되면 일어나며

분화한 화아의 발육과 추대는 개화는 고온. 장일에 의해 촉진됩니다.


3. 채종양식

1) 성숙모본채종 (Root to seed)

원종, 원원종 채종에 이용되며 배추의 결구모본 채종과 같습니다.

즉 해당 재배작형으로 예를 들면 봄무 품종이면 봄에 재배하여

품종의 특성을 갖춘 우량 모본을 선발, 하우스에 정식하거나, 저장했다 봄에 정식하여

뇌수분으로 자식종자(inbred seed)를 채종하는 방법입니다.

2) 이식채종

일대잡종채종에 이용되며 파종 9.25-9.30, 정식 11월10일경(남부),

3월15일경(중부), 정식거리, 0.8 -1.3 x 0.5 m

3) 직파채종 (Seed to seed)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채종지에서 주로, 고정종(집단선발종)의 채종에 이용되며

파종은 10. 10-10. 25 직파, 0.6*0.2m 간격으로 점파, 2-3본 남겼다 봄에 1본남기고 솎습니다.


4. 원종채종

1) 일대잡종의 원종채종

일대잡종의 원종은 단교잡의 경우 순도가 높은 자식계이어야 하나

무는 자식을 계속하면 자식약세와 함께 자가불화합성을 띠게 되므로

자식종자를 얻기 위해서는 뇌수분을 하여 자가불화합성을 회피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고농도 탄산가스 처리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어 편리합니다.

(1) 뇌수분에 의한 원종채종

(2) 고농도 CO2가스처리에 의한 원종채종

(3) 혼식자연수분에 의한 원종채종

2) 고정종의 원종채종

모본포에 그 품종의 해당하는 재배 작형으로 집단선발법을 주로 사용하여 채종하는 방법으로

여기서 근형, 품질 등을 보고 불량주는 도태하고 우량 모본을 선발하여 원종포에 재식하

그 중에서도 특선의 모본은 원원종포에 심습니다

이듬해 봄 원종포에서 생산된 종자는 채종포에 보내 판매용 종자 생산에 이용합니다.

원원종포에서 생산되는 종자는 다시 모본포에 재식하여 세대의 원원종 및 원종을 생산하도록 하면 됩니다.


5.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일대잡종의 양산

1) 일대잡종의 육성 체계

2) 단교잡에 의한 일대잡종의 양산

파종: 9월 25일 - 30일

정식: 11월 10일경 (남부지방)

3월 15일경 (중부지방)

양친을 1:1로 정식


6.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일대잡종의 양산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여 일대잡종을 채종할 수 있으나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면 주로 노화위임에 의해 나오는 내혼계를 완전히 없앨 수 없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가불화합성과 함께 웅성불임성을 이용하는 방안을 찾고 있지만,

아직은 연구 단계에 있습니다


내용이 교과서적입니다. 궁금하면 댓글 주세요,,답해 드립니다

출처 : 토종종자모임 씨드림
글쓴이 : 풀농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