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방

옻의 효능과 활용법

고재순 2017. 11. 7. 12:02
http://cafe.daum.net/samchasa/1x1n/17242 

만병의 근원인 냉증

 

 

 

일본이 세계적인 면역학자 도오루 박사는 "만병의 근원은 냉기이며,

 

체온을 오려 주면 면역력이 강해져 건강하게 장수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체온이 1도씨 떨어지면 면역력이 30% 이상 떨어지고,

 

체온이 1도씨 올락면 면역력이 70%까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실제로 상당수의 암환자 가운데 적정 온도을 유지하는 사람이 많고,

 

생리통이나 불면증, 비만,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 가운데 아랫배가

 

찬 사람이 대부분이다.

 

 

 

열이 활발하면 암이 생기지 않는다.

 

 

 

우리 몸에서 열이 어떻게 생산되는지 알아보면, 천체 열 발생량을 100으로

 

보았을때 근육에서 20%, 간에서 20%, 뇌에서 18%, 심장에서 11%, 신장에서 7%,

 

피부에서 5%, 비타 기관에서 약19%의열이 생산됩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몸무게의 40%를 차지하는 근육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기관에서 열생산을 더 늘릴 곳이 없습니다.

 

 

 

특히 심장은 인체 무게의 약200분에 1에 지나지 않는데도 열생산의 11%를

 

담당하기 때문에 가장 활발한 기관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렇다 보니 이렇게 활발하게 움직이는 심장에는 암이 생기지 않습니다.

 

 

 

체온을 올리는 것이 이렇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삼을 드시는 이유가 삼은 극상의 기운을 가지고

 

있어 먹기만 하면 기혈순환을 용이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체온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물론 삼도 좋은 역할을 하지만 삼보다 더 우위에 있는 것이 옻입니다.

 

 

 

 

건강한 혈액과 암환자의 혈액이 색이 다릅니다.

 

 

 

 

 

 

옻은 뼈을 주관하여 혈액을 생산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주고,

 

또한 혈액 속에 지방을 분해합니다.

 

 

 

또한 옻의 진통작용에 대해 눈여겨 보아야 합니다.

 

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몸이 회복되는 것이 느립니다.

 

하여서 병원에서는 모든 병에 진통제을 투여합니다.

 

 

 

 

 

 

 

 

 

 

 

 

진통제을 통해 뇌가 건강한 상태라고 인식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옻은 천연진통제로써의 역활을 명확하게 합니다.

 

 

 

옻 속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염증제거와

 

황산화효과가 탁월하며, 우루시올이 항염증작용합니다.

 

 

 

이렇게 좋은 옻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옻은 우루시올이라는 독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우루시올이 몸을 케어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20년 이상된 옻나무입니다.

 

음지에 잘 말립니다.

 

 

옻나무을 잘게 자르는 작업을 합니다.

 

 

가마솥에 잘 끊입니다.

 

 

끊인 옻물은 냉장에서 발효시킴니다.

 

 

 

모든 약재는 독이 있습니다.

 

그 독을 법제라는 과정을 통해 중화시키는데,

 

옻에 가장 기본이 되는 법제과정은 옻나무는

 

음지에서 잘 말려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보통 옻백숙을 드시고 옻이 오른 분들은 대부분이

 

잘 말리지 않은 옻나무로 백숙을 만들었거나,

 

끊이는 노하우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라 보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옻이 오르는 이유는

 

옻에 민감한 분이거나 옻독을 너무 많이 먹으면 옻이 오릅니다.

 

 

 

 

법제의 과정을 재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옻은 독이 되기 때문에

 

시중에서 판매되어 옻액기스에는 옻독이 들어있지 않습니다.

 

 

 

옻독이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옻의 효능이 적다고 보시면 됩니다.

 

 

 

 

독이 잘 활용하면 명약이 됩니다.

 

옻은 명확한 법제(중화)을 할 수 있는 노하우가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기반이 된다면 좋은 약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