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귀 주요 처방전 당귀는 오래전부터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한다. 사물탕(四物湯) ○ 당귀(當歸) 8.0 / 숙지황(熟地黃) 8.0 / 천궁(川芎) 8.0 / 작약(芍藥) 8.0g ○ 영기(營氣)와 위기(衛氣)를 조절한다. 기혈(氣血)에 영양을 공급한다. 허약한 것을 낫게 한다. 월경이 불순하고 아랫배가 아프고, 대하가 심하고 뱃속에 단단한 덩어리가 있으며 때로 통증을 호소한다. 임신한 자궁에 냉증이 심 하며 심신이 편하지 않다. 태동이 불안하고 하혈이 심하고 또한 산후의 허약이 심하다. 한기가 들면서 오로가 빠지 지 않고 덩어리가 생겨서 아랫배가 단단하고 아프다. 추웠다 더웠다 하기도 한다. 이 모든 증상을 낫게 한다. 십전대보탕 ○ 인삼(人蔘) 5.0, 백출(白朮) 5.0, 복령(茯笭) 5.0, 당귀(當歸) 5.0, 천궁(川芎) 5.0, 숙지황(熟地黃) 5.0, 생강(生薑) 4.0, 대추(大棗) 4.0, 작약(芍藥) 5.0, 황기(黃耆) 4.0, 육계(肉桂) 4.0, 감초(甘草) 3.0 ○ 사군자탕과 사물탕의 합방인 팔물탕에 황기와 육계를 가한 처방으로서 빈혈, 허혈증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위 무력(胃無力)으로 인한 식욕부진과 면역능의 저하로 인한 만성염증에 시달리고, 세포의 영양결핍으로 도한(盜汗) 이 있으면서 허약할 때 중추신경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대사능을 증진함으로써 비특이적 면역능을 강화한다. 골수 를 자극하여 적혈구생성능을 강화하고 혈허(血虛)를 개선한다.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도 한을 완화하고 허약체질을 개선한다. 우황청심환 ○ 감초(甘草) 5전, 건강(乾薑) 7.5푼, 금박(金箔) 120편, 길경(桔梗)1.2전, 당귀(當歸) 1.5전, 대두황권(大豆黃卷) 1.8 전, 맥문동(麥門冬) 1.5전, 방풍(防風) 1.5전, 백렴(白斂) 7.5푼, 백복령(白茯苓) 1.2전, 백작약(白芍藥) 1.5전, 백출(白 朮) 1.5전, 사향(麝香) 1전, 산약(山藥) 7전, 서각(犀角) 2전, 시호(柴胡) 1.2전, 신국(神麴) 2.5전, 아교(阿膠) 1.8전, 영양 각(羚羊角) 1전, 용뇌(龍腦) 1전, 우황(牛黃) 1.2전, 웅황(雄黃) 8푼, 육계(肉桂) 1.8전, 인삼(人蔘) 2.5전, 주사(朱砂) 1.5 전, 천궁(川芎) A 1.2전, 포황(蒲黃) 2.5전, 행인(杏仁) 1.2전, 황금(黃芩) 1.5전 ○ 정신이상이 생긴 병증. 전(癲)은 일종의 우울 상태, 광(狂)은 흥분 상태임. 전신의 기혈이 허하거나 기울(氣鬱), 담화(痰火), 심화(心火) 등으로 생김. 전은 음증(陰證)·허증(虛證)에 속하고, 광은 양증(陽證)·실증(實證)에 속함. 전 증이 오래되면 몰렸던 담이 화(火)로 변해 광증이 될 수 있고, 광증이 오래 경과하면 전증으로 이행됨. 대개 전증과 광증이 함께 나타남. 전은 담기(痰氣)가 울결(鬱結)하거나, 또는 심비(心脾)가 모두 허해서 발생함. 광증은 양기(陽 氣)가 지나치게 강하고 담화(痰火)가 심(心)에 작용해서 생김. 전은 표정이 냉담하고 멍청하며, 말이 없거나 말에 두서가 없고, 배가 고픈지를 모르며, 심하면 몸이 뻣뻣해지며 졸도하여 직시(直視)함. 광증은 떠들고 옷을 벗으며 사람을 때리거나 욕하고 노래하며 웃고 화내는 증상 등에 쓰인다. 당귀 보혈탕 ○ 고본(藁本) 4푼, 당귀(當歸) 1전, 만형자(蔓荊子) 5푼, 방풍(防風) 5푼, 백작약(白芍藥) 1전, 생건지황(生乾地黃) 1 전, 시호(柴胡) 5푼, 천궁(川芎) A 1전, 편금(片芩) 1전, 형개(荊芥) 4푼 ○ 기궐두통(氣厥頭痛):기궐로 일어나는 두통. 일찍이 큰 한사(寒邪)가 침범해 속으로 뇌수에 이르러 두통을 일으 킴. 두통이 심하여 이까지 당기고 아픔. ○ 혈허두통(血虛頭痛):혈허로 생긴 두통. 변혈(便血), 육혈(衄血), 산후붕루(産後崩漏) 등 실혈로 피가 부족해 머 리를 자양하지 못해서 생김. 눈썹에서 이마 모서리에 걸쳐 당기면서 아프고, 가끔 잘 놀라고, 또는 머리가 은근히 아프고 어지러우며, 눈이 침침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얼굴이 창백하고, 설질이 담백하고. 맥은 규(芤)함. 귀비탕 ○ 감초(甘草) 3푼, 당귀(當歸) 1전, 목향(木香) 5푼, 백출(白朮) 1전, 복신(茯神) 1전, 산조인(酸棗仁) 1전, 용안육(龍眼 肉) 1전, 원지(遠志) 1전, 인삼(人蔘) 1전, 황기(黃芪) 1전 ○ 건망(健忘):선망(善忘). 호망(好忘). 다망(多忘). 희망(喜忘). 기억력이 약해져 잘 잊어버리는 병증. 심신불교(心 腎不交)로 일어남. (1) 사려과다(思慮過多)로 비위(脾胃)가 병들거나, 심화(心火)가 아래로 내려가지 않아 신(腎)과 만나지 않으면 탁화(濁火)가 그 신명(神明)을 어지럽히고, 신수(腎水)가 올라가 심(心)과 만나지 않으면 그 정기(精 氣)가 잠복해 쓰이지 못함. 잘 잊어버리고, 음식을 못 먹고, 심계(心悸)가 있고, 정신이 피로하고, 잠을 못 잠. (2) 신 수(腎水)가 부족하여 오르지 못하면 조(躁)가 생겨 마음이 어지러워 잘 잊어버리고, 허리가 시큰거리고 힘이 없으 며, 심하면 유정(遺精), 조설(早泄)함. (3) 화(火)가 위에 있으면 담(痰)이 되어 심규(心竅)를 막아 의식장애가 있은 후 건망증과 언어장애가 따름. (4) 심기(心氣)가 부족하여 발생하면 정신이 황홀하고, 도한(盜汗)이 나고, 정충(怔 忡)을 일으킴. (5) 연로(年老)하여 정신이 쇠약해져 잘 잊어버림. ○ 정충(怔忡):심총(心忪), 종계(忪悸). 심한 심계(心悸)가 주증인 병증. 아래에서 음허(陰虛)가 되면 종기(宗氣)의 뿌리가 없어져 원위치로 돌아가지 못해 위로 오르면 가슴이 두근거리고, 내려가면 배꼽 둘레가 진동함. 또 심하 (心下)에 수음(水飮)이 있거나, 신수(腎水)가 부족하여 심화(心火)를 제어하지 못하거나, 노심(勞心)이 과도하여 일 어남. 심계와 경계(驚悸)는 병이 비교적 가볍고 일시적이나, 정충은 지속적임. 또한 심계는 기능적이고, 정충은 기 질적임. 소요산 ○ 당귀, 부령, 백술, 백약, 채호 각각 30g, 단감초 15g, 생강, 박하 각각 조금씩 넣는다. ○ 간에 이롭고 우려를 제거하고, 혈을 돕고 월경을 조절한다. 간 기능 약화에 의한 우울증이나 혈이 허하여 일어 나는 옆구리의 통증, 머리가 아프고 눈이 어지럽고, 입안과 목이 마르고, 피곤하여 식욕이 없고, 열이 나고, 월경이 고르지 않고, 젓이 불어나고 혀가 붉어지고 맥박이 허한 자에게 사용한다. 당귀사역탕 ○ 당귀 10g, 계지 9g, 세신 6g, 작약 9g, 감초 6g, 목통 6g, 대추 5개 ○ 온경산한, 양혈통맥 기능이 있다. 주로 혈이 허하고 행기를 입어 손발이 차갑고, 혀 색깔이 연하고 하얗고, 맥이 약하고 혹은 맥이 약할 때 치료에 사용한다. 당귀육황탕 ○ 당귀, 생지황, 숙지황, 황금, 황백, 황련 각각 한등분에 한배가 되는 황기를 넣는다. ○ 음혈을 자라게 하며(강하게), 열을 제하고 땀을 제거한다. 음혈이 허약하여 열이 많은 증상의 치료에 사용한다. 증상은 열이나고 땀이 자주 나고, 얼굴이 붉고 입과 입술이 건조하고, 마음이 복잡하고, 대변이 굳고, 소변이 노랗 고 붉으며 혀 색이 붉다. 택란잎탕 ○당귀 30g, 택란 잎 90g, 백약 30g, 감초 15g ○ 여인들이 혈이 허하고 열이 많고, 월경이 줄어들고, 점차 없어지고, 몸이 약하고, 하혈하고 폐경이 오래된 환자 의 치료에 사용한다. 생화탕 ○ 당귀 2.5g, 천궁 10g, 도인 6g, 흑강 1.5g, 자감초 1.5g ○ 산후제증은 혈허가 근본으로 산후 사용은 금지한다. 어혈을 없애는 약은 쉽게 혈을 움직이고 상하게 하여 혈허 에는 이롭지 않다. 건보호잠환 ○ 당귀, 황기, 인삼, 호골, 목과, 숙지황, 구판, 쇄양, 구기자, 토사자, 보골지, 두충탄, 진구, 방풍, 백작약 등 ○ 혈을 돕고, 바람기를 없애며, 맥이 통하게 한다. 신기가 허약하여 나타나는 근골이 연한 증상, 사지가 뻣뻣하고, 허리와 다리가 시리고 아린 증상, 발과 무릎이 맥이 없고, 보행이 힘든 등 증상에 쓰인다. 당귀산 ○ 당귀, 천궁, 작약, 황금을 각각 30g, 백출 15g ○ 월경이 고르지 않고 혹은 3~4개월이 되어도 월경이 오지 않고 혹은 한 달에 두 번씩 월경이 오거나, 허리와 배 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당귀수산 ○ 당귀미(當歸尾) 9.0, 적작약(赤芍藥) 9.0, 오약(烏藥) 9.0, 향부자(香附子) 9.0, 소목(蘇木) 6.0, 홍화(紅花) 6.0, 도인 (桃仁) 6.0, 계지(桂枝), 감초(甘草) 3.0g 달여서 물과 술을 반씩 타서 복용한다. ○ 타박(打撲)이나 낙상(落傷) 등으로 전신 또는 국소에 혈전(血栓)이나, 혈관 울혈이 생겨서 아프고 복부팽만감이 있을 때, 혈소판응고를 억제하고, 혈관울 혈을 풀어 주며, 진통작용을 하고, 혈전으로 인한 복부팽만감을 개선한 다. 내보당귀 건중탕 ○ 처방:당귀 120g, 계지 100g, 작약 180g, 생강 100g, 감초 60g, 대추 12개 ○ 산후 허하고, 배가 찌르듯이 아프고, 호흡이 작고, 쥐가 나듯이 아랫배가 아프고, 허리와 뒤 등이 당기듯이 아프 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상에 사용한다. 당귀양혈환 ○ 당귀(當歸) 150g, 계심(桂心) 75g, 목단피(牧丹皮) 75g, 적작약(赤芍藥)150g, 현호색(玄胡索) 75g ○ 월경이 고르지 않고, 적색 백때가 나오고, 자궁이 냉하고, 임신이 안 되는 경우에 사용 당귀작약탕 ○ 당귀(當歸) 3.0g, 작약(芍藥) 16.0g, 복령(茯笭) 4.0g, 백출(白朮) 4.0g, 택사(澤瀉) 8.0g, 천궁(川芎) 8.0g ○ 혈관평활근의 장력(張力)이 약하고, 혈관운동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 못하여 두통, 현기증, 어지러움, 두중 감(頭重感)이 있고, 조혈기능이 약하여 혈허(血虛)한데다 신장배설이 원활하지 못하여 세포간질(間質)에 부종이 있 으며 내장(內臟)평활근의 장력부족으로, 요통, 복부팽만감 등을 나타낼 때 내장평활근의 장력을 강화하여 요통, 소 화불량, 복부팽만감을 완화한다. 조혈기능을 강화하고, 혈액의 점도(粘度)를 저하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세포 에 산소공급을 증진하므로 써 두통, 현기증, 두중감(頭重感)을 완화한다. 신 장배설을 촉진해서 부종(浮腫)을 완화한다. 오적산 ○ 당귀(當歸) 4.0, 천궁(川芎) 4.0, 작약(芍藥) 4.0, 창출(蒼朮) 4.0, 복령(茯笭) 4.0, 반하(半夏) 4.0, 백지(白芷) 4.0, 지 각(枳殼) 4.0, 계지(桂枝) 3.0, 마황(麻黃) 2.0, 감초(甘草) 2.0, 후박(厚朴) 4.0, 진피(陳皮) 4.0, 길경(桔硬) 4.0, 건강(乾 薑) 3.0, 생강(生薑) 3쪽, 대추(大棗) 2쪽 ○ 오적산이란 기(氣), 혈(血), 담(痰), 음(飮), 식(食)의 오적(五積)을 치료한다는뜻이다. 소화기계를 조절하여 유통 을 순조롭게 하고 감기로 인한 冷증을 완화한다. 소화기계의 수독을 빨리 배출하고, 脾胃虛冷으로 인한 만성 소화 불량을 낫게 하며 헛배가 부르고 가슴이 꽉 막히고 구역과 메스꺼움이 있는 것을 고친다. 당귀탕 ○ 당귀, 백작, 인삼, 길경, 진피 각각 0.3g, 단감초 0.15g ○ 아이들이 밤 한기로 인한 복통, 얼굴이 파랗고 손이 차고, 젖을 먹지 않고 밤에 우는 경우 사용한다.
출 처: 농촌진흥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