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화 골다공증은 40대를 넘은 여성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병 중의 하나이다. 중년 뿐만 아니라 20∼30대에도 영양섭취가 불균형을 이룰 경우 생기기도 한다. 이 골다공증에 특효약으로 알려진 것들 중 홍화씨가 있다. 홍화(Carthamus tinctorius)는 잇꽃이라고도 불리는 국화과(菊花科)의 이년초(二年草)로, 본래는 이집트 원산 이지만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재배되던 약용식물이다. 여름에 꽃이 피어 가을에 씨를 수확하는데, 꽃색이 주홍에 가까운 노랑색으로 무척 화사하다. 그래서 약용 뿐만 아니라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꽃의 생김새는 엉겅퀴 비슷하지만, 꽃대가 목질로 무척 억세다. 8월 경 꽃이 피고 가을이 되면 씨가 영그는데, 홍화는 어린 순부터 꽃 그리고 씨까지 쓰임새가 무척 다양하다. 우선 어린 순은 나물로 무쳐 먹으며, 꽃은 통째로 따서 말려 차나 술에 담그어 먹으면 향긋한 향기나 아름다운 꽃모습이 그대로 유지된다. 또 씨는 잘 말려서 깨처럼 살짝 볶아 뼈가 부러진 사람이 먹으면 부러진 부위가 잘 아문다. 뼈의 형성을 촉진하는 이 효능 때문에, 임신부가 먹으면 아기의 뼈가 굵어지고 산모의 골반뼈가 단단해져 출산에 지장이 있을 정도이다. 이것은 홍화씨에 함유 된 백금성분 때문인데,이 금속성분은 뿌리를 통해 흡수된 것이 아니라 대기 중에 함유된 백금 소립자를 잎을 통해서 끌어들여 합성한 것이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백금성분은 뿌리나 줄기, 그리고 씨앗의 배유에는 전혀들어있지 않고, 오직 씨앗껍질에만 들어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뼈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씨앗이나 씨앗알맹이가 없는 쭉정이도 먹는 것이 좋다. 또한 씨앗에서 짠 홍화유는 토코페롤이나 리놀산이 많이 함유된 식물성지방으로, 미국이나 유럽에서 동맥경화나 비만, 노화를 방지하는 식품으로 인기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부터 재배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실제 한국의 기후는 홍화재배에 적합하지는 않아 중국에서 홍화를 많이 수입하였다. 홍화재배에는 조금은 까다로운 조건들이 있는데, 공해가 없는 환경조건과 맑은 물·황토흙이 그것들이다. 또한 농약을 쓰면 싹이 나지 않고 약효가 떨어진다. # 
홍화씨를 홍화자, 백평자라고 부른다. 종자는 기름을 30.2퍼센트, 종인은 기름을 45~49퍼센트 함유하고 있다. 종자의 기름은 리놀산 73.6~78.0퍼센트, 오레인산 12.0~15.2퍼센트, 그 외에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팔미토레인산을 함유하고 있다. 기름을 제거한 종인은 단백질을 61.5~63.4퍼센트 함유하고 있다. 혈을 잘 순환하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천연두로 인해 몸상태가 좋지 않은 증상, 부인의 혈기어체, 복통을 치료한다.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여성의 중풍과 혈열 번갈의 치료에는 홍화씨 9홉을 약간 볶아서 짓찧은 후 큰 숟가락 반숟갈에 물 1되를 붓고 7홉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이른 아침에 조금씩 복용한다." 홍화씨에는 백금 성분이 들어 있어 뼈를 빨리 붙게 한다. 홍화씨를 가루로 만들어 빈속에 복용하면 골절상에 잘 듣는다. 또한 골수의 밀도를 증가시켜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홍화와 홍화씨의 효능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월경불순, 산후 어혈로 인한 복통, 복강내 종양, 어혈, 고혈압, 고지혈증, 눈병, 치매, 구강암, 다발성 피부농양, 동맥경화, 접골, 골다공증, 협심통, 종기, 입술튼데, 손발 아랫배 냉한데, 신경통, 관절염, 무월경, 욕창, 급만성 근육손상, 신경성 피부염, 십이지장궤양, 관상 동맥 질환, 뇌혈전, 생리통, 타박상등에 효험이 있다. 집안에 빈터가 있다면 홍화를 심고 가꾸어 가정 상비약으로 사용할 가치가 대단히 높다. 채집은 5~6월에 꽃잎이 황색에서 홍색으로 변할 때 대롱 모양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리거나 그늘에서 말리며 불에 쬐어 말리기도 한다. 불순물을 제거한 후 줄기와 잎, 꼭지를 떼어내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간경, 심경에 들어간다. 피를 잘 순환하게 하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어혈을 제거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무월경, 복강내 종양, 난산, 사산, 산후현훈증, 어혈에 의한 동통, 옹종, 타박상을 치료한다. 하루 3~6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내어 먹거나 술에 담가서 우려내어 먹는다. 신선한 것은 짓찧어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시는 가루내어 뿌린다. 임신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뱃속의 아기가 뼈가 튼튼해져서 출산때 힘이든다) 급만성 근육손상, 타박상, 염좌에 인한 피하 충혈, 종창, 욕창, 관상 동맥 경화증, 발바닥 갈라진데, 사용한다." 잇씨로 부러지거나 부서진 뼈를 치료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부러진 뼈를 유능한 접골의원이나 접골사를 찾아가서 제자리에 정확하게 맞춘다. 그 다음에 잇씨를 1냥(37. 5그램)이나 1냥 반쯤을 프라이팬에 바삭바삭할 정도로 살짝 볶아 가 루로 내어 생강차나 쌀죽에 타서 밥 먹기 전에 먹는다. 토종 잇씨는 일 주일에서 열흘쯤이면 치유가 되지만 외국에서 수입한 잇씨는 거의 효과가 없고 외국산 잇씨를 우리 땅에 5년쯤 연속 재배하여 조금 토종화시킨 것은 보름에서 한 달쯤이면 치료가 된다 토종홍화씨 홍화씨가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함양에 계셨던 神醫 仁山 김일훈님의 저서 <神藥>, <神藥本草> (1985년 저서)를 통하여, 그분에게 아픈몸을 맡겼던 여러분들에게 책을 나누어 주셔서 그분의 여러가지 신약처방이 세상에 나오게 되었습니다. 죽염, 토종홍화씨, 유황오리, 오핵단, 약염소, 약닭, 약돼지 등의 재배, 사육방법, 효과, 약재방법, 해당 질환 등등 여러가지 자세하게 수록하였습니다. 그분의 생신때 대구에 계신 저희 화랑도 스승님과 함양의 자택으로 문안드린적이 있습니다. 그 후 몇년이 지나 사회 생활을 지금의 영덕에서 하게 되면서 홍화씨 농사를 지었습니다. 홍화씨를 세상에 알렸든 그분의 책 내용이 가장 신뢰되는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그외의 배치되는 내용은 상술이 가미된 내용이라 여기시기 바랍니다. 홍화를 여러가지 이용 *어린 홍화싹 - <이나물> 이라 하여 시금치처럼 살짝 대처서 나물 무침해서 먹으면 아싹하고, 맛이 있습니다. *홍화 - 잇꽃이라 불리는 홍화꽃의 가냘픈 꽃술입니다. 어혈을 푼다 합니다. 옛날 초가집의 지붕을 손질하다 떨어지면 허리, 다리 등을 다쳤을때 막걸리 한 사발에 홍화꽃 마른것을 냄비에 타지않게, 살짝 갈구어서 손바닥에 놓고 비벼서 가루를 만들어서 넣어 마시고 한잠 자고나면 어혈이 풀린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여러가지 타박상에 어혈을 풀어 혈행을 도운다는 것입니다. * 홍화씨 - 씨앗입니다. 세상에 알려진 홍화씨의 효과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골절, 골다공증, 파골, 쇄골 등에 사용합니다. 성분은 극미량의 유기백금 성분이 주된 효과를 나타냅니다. 유기백금성분 : 1, 칼슘을 뼈에 붙여주는 세멘트 역활, 2, 각종 공해물의 해독작용, 3, 항암작용( 무기백금성분을 주로하는 항암제가 있습니다. 무기 백금 성분의 독성때문에 여러가지 반작용이 많습니다. 구토, 탈모 등) 재배법을 지켜주셔야 알려진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밭에 유황을 뿌려서 지나간 경작기간 동안의 농약, 비료의 독성을 제거하고, 홍화씨에 유황정(유황의 약성)을 함유하기 위함입니다. 퇴비를 많이 사용합니다. 자라면서 검은 진딧물이 많이 발생합니다. 농약을 사용하면 안됩니다. 농약사용하면 유기백금성분이 해독작용에 소모되고 약성이 없는 씨앗을 수확하게 됩니다. 이러한 재배법을 지키지 않고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여 다수확으로 가격경쟁을 하여서 지금은 신뢰가 많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 홍화씨기름 - 호두, 잣 등에 많은 식물성 불포화지방산이 주성분입니다. 동물성 지방질을 녹여주는 작용이 있어서 고 콜레스테롤증 , 심장질환 등에 응용이 가능합니다. 골다공증, 골절과는 별로 사용처가 맞지 않습니다. **홍화씨 먹는 요령 무공해로 재배한 토종홍화씨를 구합니다.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빼고 냄비에 볶습니다. 15분 정도 소요되는데 중간에 한알씩 어금니에 깨물어서 비리지 않고 고소하면 됩니다. 색이 갈색으로 되게 볶으면 속이 타서 약성이 많이 소모됩니다. 150g을 물 3.6리터(2되) 넣고 , 센불에 끓기 시작하면 가장 낮은불로 3 - 4 시간 닳여서 매 식전 30분전, 식후 2시간 경과, 잠자기 1시간전(7회)에 150ml(1컵)정도씩 드시면 됩니다. 설사가 나면 9회죽염으로 약간 짜게 드시면 됩니다. 먹는 기간중 열이 날 수도 있습니다. 어린 홍화( 이나물) - 솎아서 나물로 먹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