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초 재배법

[스크랩] 당귀 이야기

고재순 2014. 11. 18. 12:09

당귀 이야기

깊은 산 계곡이나 습한 땅에서 나는 당귀는 보혈(補血)작용이 뛰어나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은 『나쁜 피를 없애고 새로운 피를 기르며

아랫배 종양과 부인의 하혈을 그치게 하고

오장을 보(補)하며 새 살을 나게 한다.

 

 

일체의 풍(風)·혈(血)·노(勞)를 낫게 한다』고 당귀에 대해 설명한다.

조혈 작용을 왕성케 하기 때문에 당귀를 먹으면 수혈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당귀는 산후 출혈이 많아 빈혈이 심한 산모나 영양결핍으로

 인한 빈혈 환자에게도 탁월한 효력을 발휘한다.

체내 헤모글로빈·혈색소·혈장 등의 생성을 돕고 각종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대사질환을 개선시키는 효능도 뛰어나다.

부인들의 생리장애·불임증·자궁출혈 등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증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

예로부터 ‘부인과의 성약(聖藥)’으로 불리기도 했다.

 

교통사고나 격렬한 노동·운동으로 입은 타박상 치료에도 효험이 있으며

과다한 출혈 증상을 보인 다음에 당귀를 달여 먹으면 효과적이다.

 

 

혈액순환을 촉진해 뭉쳐있는 혈액을 체외로 배설시키는 작용을 한다.

피부가 헐어 새 살이 돋지 않고 진물이 계속 흐를 때에도

 당귀를 복용하면 피부 재생력을 높일 수 있다.

 

피부가 거칠고 윤기가 없거나 발진·종기가 자주 날 때도 좋다.

노인성 변비나 고혈압 치료에도 보조 약재로 쓰인다.

 

 

 

 

 

[ 민간요법 ]

당귀는 유난히 손발이 차서 고생하는 사람이 많은데 특히 여자들의 경 우가 많다.

이 때에 좋은 한방음식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 쇠꼬리 곰탕이 좋다.

재료: 쇠꼬리(1개), 당귀(30g), 인삼(미삼, 50g), 밤, 대추, 생강(5쪽)

 

[ 식이요법 ]

 

여성보양식으로 허약한 기운을 돋구워주며 빈혈이나 생리불순 등에

 부족한 피를 보해주는 효과가 있다.

 

재료: 닭(1마리), 당귀(15g), 인삼(15g), 파(1뿌리), 곡주나 청 주(1숟가락), 생강(3조각)

 

한방요리법:

1. 닭을 깨끗이 손질하여 내장을 제거한 후 잘게 썬 당귀, 인 삼, 파,

 생강을 청주와 함께 닭의 뱃속에 넣는다.

2. 그런 다음 그릇에 넣고 잠길 정도의 물을 부은 뒤 센 불에 펄 펄 끓인다.

3. 다 끓으면 약한 불에 오랫동안 곤다.

※ 닭고기와 건더기, 국물을 함께 먹는다. 한달 동안 3∼4번 해먹는다

 

<복용>

당귀 약 10그램, 대추 5개 쪼개어서, 음료수처럼 달여서 수시로,

설사 발생시 중간에 며칠씩 공백을 두고 .....

**당귀를 드실때는 도라지처럼 껍질을 까서 구워드셔도 맛있습니다.

 둥글레차처럼 끓여드셔도 됩니다**


 

◇당귀의 효능◇

 

당귀(참당귀)효능 질병ID 민간요법처방

 

간질(癎疾)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강장보호(腔腸保護)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건위(健胃)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관절염(關節炎)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관절통(關節痛)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두통(頭痛)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매독(梅毒)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변비(便秘)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보혈(補血)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통(腹痛)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부인병(婦人病)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빈혈(貧血)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산후 복통(産後復痛)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 일 복용한다.

소화불량(消化不良)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심장병(心臟病)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악취(惡臭) 뿌리 3g + 지황 5g + 용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넣고 달여서

1일 2회씩 4~5일 복용하면서

그 물로 자주 양쪽 겨드랑이를 닦는다.

 

안태(安胎)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암내(악취:惡臭)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그 물로 양쪽 겨드랑이를 자누 닦아준다.

 

양신(養腎)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어혈(瘀血)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발라준다.

 

오로보호(五勞保護)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5일 이상 복용한다.

장보익(五臟補益)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5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월경이상(月經異常)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위축신(萎縮腎)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이뇨(利尿)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자궁출혈(子宮出血)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정혈(精血)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진정(鎭靜) 뿌리 6~8g을 1회분 기준

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진통(陣痛)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치질(痔疾)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하면서 뿌리를 생으로 짓찧어

빠져 나오지 않게 환부에 잘 밀어 넣는다. 심한 경우는 10회 정도 한다.

 

치통(齒痛)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타박상(打搏傷)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경(通經) 뿌리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풍(風)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행혈(行血)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허약체질(虛弱體質)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현기증(眩氣症)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혈액순환(血液循環)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참)당귀와 개당귀의 구별 방법

당귀는 이름도 친숙하며 널리 알려져 있다.

당귀와 유사한 개당귀가 있는데 모양이 비슷하여

구별하기가 어렵다.

당귀는 몸에 좋지만 개당귀는 猛毒성을 가진 풀이며,

개당귀를 당귀로 誤認하여 뿌리를 먹고 사망 및 중독을 당한 사고

사례가 있어 여기에 당귀와 개당귀의 특징과 구별방법을

밝히므로 이러한 오인사고를 줄이도록 一助를 하고자 한다.

당귀(當歸), 참당귀

명 칭

지리강활(智異羌活)

目貴草, 當赤, 宿根草

이 명

개당귀, 남당귀

산형과, 바디나물속

과 명
속 명

산형과, 바디나물속

Angelica gigas Nakai

학 명

Angelica purpuraefolia Chung

전체
사진

잎1

잎2

잎은 1-2회 3출겹잎이며

3-5갈래로 거듭 갈라지며 갈래는

긴 타원형이고 끝은 뾰쪽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초는 넓고 크다.

가장자리의 톱니의 크기 및

배열이 고르지 못하다.

잎이 서로 갈라지는 곳에 잎이 연결되어 있다.
상처난 잎에서 흰색의 진액이 나며

달콤한 향이 난다.
잎의 뒷면의 색이 앞면의 색과 같다.


특징

잎은 한줄기에 3개로 갈라 지고 갈라진

줄기에서 다시 3개로 갈라져 갈라진 가지마다

9개의 잎으로 되어 있으며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이 당귀보다 좁다.


가장자리의 톱니의 배열이 균일하다.
상처난 잎에서 역겨운 냄새가 난다.
잎이 서로 갈라지는 부분에 분리되어 있고,

잎의 뒷면의 색이 앞면의 색보다 흰색이 많다.


줄기

줄기는 곧게 자라며
어릴 때는 연녹색이나 꽃대 줄기는

가을철이 되면 자색을 띤다.


줄기가 상대적으로 연하다.
(손으로 눌러보아 쉽게 눌려진다)


줄기가 상대적으로 굵다
줄기에 홈이 파져있다.

(줄기의 단면이 홈이 파진 원형이다)


줄기
특징

줄기는 곧게 자라며
대부분 녹색이나 잎으로 분기되는

곳은 부분적으로 검붉은색을 띤다.


줄기가 당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단하다.

(당귀에 비하여 단단한 편이다)
줄기의 굴기가 상대적으로 가늘다
줄기의 단면이 원형이다.

뿌리

줄기의 아래 부분이

연두색이다.


뿌리는 굵은 뿌리와 잔뿌리가 함께

나있으며 뿌리가 연하다.


상처난 부위에 흰색의 진액이 나오며

냄새를 맡으면 향긋하고 달콤한 냄새가 난다.


뿌리가 3갈래도 있지만

여러 갈래로 갈라져있다.

뿌리
특징

줄기의 아래 부분이

자색을 띤다.

뿌리는 옆으로 퍼져있고 뿌리의

껍질은 진한 갈색을 띤다.


상처난 부위의 냄새를 맡으면 역겨운 냄새가 난다.
뿌리가 대부분 3갈래이다.

꽃은 7-8월에 자색

겹산형화서의 꽃이 피며

10월에 결실을 맺는다.

총포는 1-2장 넓고 짧으며 엽초모양,

작은 총포는 5-7장 좁은 창처럼 생기고,

꽃잎은 5장

긴 타원형 끝이 아주 뾰쪽하고

수술은 5개, 자방은 하위,

1실 열매는 분과, 타원형, 넓은

날개가 있고 길이 5mm,더러 자색을 띤다.


특징

7-8월에 흰색의 꽃이 피며

겹산형화서이다.

우리나라 전국의 산에

나는 다년생풀로서 키는 어린 것은

60cm에서 큰 것은 약2m정도까지 있으며

봄철 어린 것은 녹색이나 여름철과

가을철엔 자주빛이 돈다.

서식
특징

지리산에 많다 하여

지리강활이라고 하며

우리나라 중부이남에

분포하는 다년생초이다.

특히 지리산 해발 1500m높이

부근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어린 잎과 뿌리는 식용하며

잎은 날로 쌈을 해 먹거나 삶아

묵나물로 먹고 뿌리는

차나 술을 담그어 마신다.

식용 및
독성
유무

식용할 수 없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비타민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월경을 조절하고 월경통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는데 이것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현저하여

빈혈에 유효하고 일반 타박상이나

현전성 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용하면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의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변비에 복용하면

장관운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이밖에도 빈혈로 오는 두통,

관절염등에 널리 사용한다.

자궁출혈이 심할 때는 사용하지 않으며

장기간 또는 다량투여하는 것도 삼간다.

약용

지리강활은 有毒植物로

대부분 약용으로도 쓰지 않으나

때에 따라 또는 약사에 따라 약용으로

쓰기도 한다.

독성이 크면 약효도 크다고 한다.
다만 유사한 강활의 뿌리는 해열진통제,

피부진균 억제제 등에 쓴다.

사고
사례

1991년 5월 19일에 지리산

치밭목 산장 부근에서 개당귀를

참당귀로 잘못 알고 먹어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중독된 사고가 있었다.


1994년 5월 29일에 지리산

세석평전에서 대구에 사는 여성 2명이

지리강활을 먹고 중독된 사고가 있었다.

이외에 해마다 여러 건의 중독사고가

일어나고 있고 산장부근에 경고

간판이 붙어있다.

증상
해독
방법

개당귀 뿌리를 먹으면

눈이 충혈되면서 얼굴이 붉어지고

경련을 일으키며 즉사하거나

1~2시간 정도 지나면

목숨을 잃는다.


개당귀를 먹었을 때

解毒방법은 녹두가루를 물에

타서 마시게 하거나

칡즙이나 칡줄기즙을 먹이면

해독이 된다고 한다.

이런 해독재료가 없을 경우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상책이다.

또한 경련으로 혀를 깨물

염려가 있으니 재갈을

물려 이를 막아야 한다.

당귀란 참당귀의 뿌리를

말하며 고려시대 목귀초(目貴草),

당적(當赤)이라고도 하였으며,

1600년대에는 숭엄초불휘라고도 하였다.

다른 이름으로 숙근초(宿根草)라고도 한다.

당귀란 말의 유래는 옛날 결혼을

한 신부가

냉병(冷病)이 있어 신랑으로부터

소박(疏薄)을 맞고 친정으로 쫓겨 가는데

허기가 져서 어떤 풀을 뜯어먹고

허기를 면하게 되었고 또한 냉병이

호전되어 친정에서 계속 그 풀을

뜯어 먹고

냉병이 다 나았으며 그래서

시집으로 다시 돌아갔다는 고사가 있으며

이 일로 해서 이 풀을 먹으면 마땅히(當)

집에 돌아간다(歸)라는 의미로

당귀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말의 유래

지리강활을 다른 말로

남강활, 지리강호리, 개당귀라고도 한다.

겹산형화서(-傘形花序) :

꽃의 생김새가 한 점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갈라진 가지 끝에 꽃이
우산모양(傘形)으로 여러 갈래 로

피는 모양으로 2중의 우산모양이다.

총포 (總苞,involucral) : 꽃의 밑에 붙은 비늘모양의 주머니 (苞,bract)

출처 : [우수카페] 산삼을 찾는 사람들
글쓴이 : 김영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