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화 엄사(華嚴寺)의 홍매화
화엄사 홍매화는
장육전(丈六殿)이 있던 자리에 조선 숙종 때 각황전(覺皇殿)을 중건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계파(桂波)선사께서 심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래서 장육화(丈六花)라고도 하며,
다른 홍매화보다 꽃이 검붉어 흑매화(黑梅花)로 불리기도 합니다.
화엄사 각황전 앞뜰의 홍매화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수령 250~300년 정도의 홍매화 고매는 우리나라에 3그루 있다는데
그중 하나인 희귀한 화엄사 홍매화 입니다.
화엄사에는 천연기념물이 둘 있는데
하나는 홍매화 나무고, 또 하나는 올벚나무입니다.
나한전 앞의 홍매화 나무
각황전(좌측) 과 나한전(중앙) 그리고 관음전(우측) 가운데 서있는 홍매화나무
관음전 지붕위로 보이는 홍매화
관음전앞의 홍매화
각황전 앞으로 늘어진 홍매화
각황전 앞의 홍매화
각황전 앞의 홍매화
나한전 앞의 홍매화,,(펌사진)
다음검색
'전쟁후 피난촌의 칼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문의 의미[ (0) | 2019.02.28 |
---|---|
팔도 음식 (0) | 2019.02.27 |
그시절 어머니의 정한수 (0) | 2019.02.22 |
그때 그시절 그추억 (0) | 2019.02.21 |
◐ 나의 살던 고향은 ◑ (0) | 2019.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