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방

느릅나무(유근피)란?

고재순 2016. 8. 20. 11:06

 

느릅나무(楡根皮유근피)란?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높이는 15m 정도이고, 잎은 긴타원형으로 꽃은 3월에 피며, 열매는 4∼5월에 익는다. 우리 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하며, 표고 100∼1200m의 계곡이나 하천가의 심도 깊은 적윤지에서 자란다.

 


한자어로는 분유(枌楡)·가유(家楡)라고 한다. 학명은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이다.

나무높이는 15m, 지름은 70㎝에 이른다. 원줄기가 곧게 자라서 많은 가지를 내어 둥근 수형(樹形)을 이룬다. 긴 타원형의 잎은 어긋나고 길이는 4∼8㎝이며,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밑 부분은 일그러진 둥근 모양이다. 잎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고 뒷면 엽맥 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3∼7㎜로 털이 있고 꽃은 3월에 피며, 열매는 도란형(倒卵形: 거꾸로 세운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시과(翅果: 열매껍질이 날개처럼 되어 바람에 날아가기 쉬운 열매)로서 길이는 1.0∼1.5㎝이고 중앙부에 잔털이 있으며, 4∼5월에 익는다.

 


추위에 잘 견디고 내음성도 강하며, 습기를 좋아하는 식물로서 토양 속의 신선한 물기가 있는 곳에서 생장이 왕성하다. 우리나라·중국·일본에 분포하며, 표고 100∼1200m의 계곡이나 하천가의 심도 깊은 적윤지에서 자란다.

 


용재수(用材樹)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전에는 목재로서 밝고 고운 무늬목을 제일로 치던 경향이 있었으나 자연 그대로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감각에 상응하여 이 나무의 무늬목 수요가 급증하게 되어 고급경제수종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휘어지는 성질이 뛰어나고 잘 갈라지지 않아 우산·양산자루나 휨의자 등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

 


그러나 마무리된 표면에 광택이 없어 거친 감이 있고 나뭇결이 복잡하여 어두우면서도 검푸른 결점이 있어서, 느티나무나 들메나무의 대용으로 가구·건축·차량·선박·토목·포장상자재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나무의 껍질섬유를 뽑아 끈 또는 포직용(布織用)으로 쓰며, 이뇨제·거담제 등의 약재로도 사용된다.

 


내피(內皮)는 물에 우려내어 소나무 내피가루와 섞어서 먹기도 한다. 특히, 떡느릅나무의 어린잎은 밀가루나 콩가루에 버무려 떡을 만들어 먹을 수 있으며, 열매는 옛날에 사용했던 얇은 동전과 닮아 유전(楡錢) 또는 유협전(楡莢錢)이라고 부른다. 번식은 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곧바로 심어야 묘목을 얻을 수 있다.

 


느릅나무는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의 산골짜기나 물가에서 흔희 볼 수 있다. 이른 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벗겨서 사용하는데 이를 유근피라 gks다. 전해내려오는 말에 의하면 옛날 어머니와 아들이 산길을 가다가 아들이 비탈에 굴러 떨어져서 엉덩이가 심하게 찢겨 나가서 온갖 약을 써 보았으나 낫지 않고 곪아서 목숨이 위태롭게 되었다. 어느날 꿈을 꾸는데 노인이 나타나서 대문밖의 나무껍질을 짖찧어 상처에 붙이면 나을 것이라고 일러 주었다. 그대로 해 보니 며칠 안되어 새살이 아나고 한 달 후에는 완전히 나았다고 한다.

 


동의보감의 기록을 살펴보면~~~

"유근피는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 위경, 폐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설명:비경, 위경에 작용하니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에 좋고, 폐경에 작용하니 코의 질병인 비염에 좋고, 대장경에 작용하니 대장염에 좋고 대변을 잘 통하게 합니다.) 오줌을 잘 통하게 하고 붓기를 해소하며 위장의 열을 내리고 대변을 잘 통하게 한다." 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유근피는 느릅나무껍질이라고도 하는데 예로부터 약재로 많이 사용되어왔는데 방송과 언론을 통해 유근피효능이 알려지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유근피의 효능

 


■ 면역력 향상

면역력이 떨어지면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쉬운데 유근피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타닌, 사포닌 성분이 면역력을 길러주는데 좋아 외부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우리 몸을 지켜주는데 도움이 되어요.

 


■ 불면증 개선

유근피를 달여 복용을 하게 되면 심신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불면증을 개선하는데 좋을 뿐 아니라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는데 도움이 되어요. 평소 불면증으로 인해 고생하시는 분들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시는 분들이라면 유근피 달인물을 드셔보세요.

 


■ 비염 개선

유근피효능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비염에 특효약이라는 것입니다. 알레르기성비염으로 인해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치료 쉽지 않아서 비염으로 인해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유근피효능이 비염 개선에 좋아 달인 물을 꾸준히 드시거나 진액으로 직접 코 안을 세척해주면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소화기관 질병 및 각종 종양 치료

유근피(느릅나무껍질)는 고름을 빨아내고 상처를 빨리 아물게하며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을 해주어 위궤양이나, 소장, 대장궤양, 역류성 식도염, 같은 소화기관의 질병이나, 각종 종기와, 종양을 치유해주는데 아주 좋은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위장질환 및 각종 성인병에 좋다

유근피(느릅나무껍질)은 성질이 평하며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과, 위의 사열을 없애주어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낫게하며 위궤양이나, 위하수, 위염,등 각종 위장 질환이 있는경우~ 유근피 달인물을 꾸준히 복용해주면 탁월한 효능을 보실수가 있다고 합니다.

어혈을 풀어주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고지혈증과 같은 각종 성인병의 치유와 예방에도 아주좋은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 이뇨작용

유근피를 달여서 꾸준히 복용하게 되면 이뇨작용을 좋게 해주어 부종을 예방해주고 몸 속의 노폐물 배출에 도움을 줍니다. 방광이나 신장 기능을 좋게 해주기 때문에 방광염, 요도염, 요통, 등의 증상에도 좋은작용을 하며 소변을 잘 보지 못하시는 분들에게도 좋습니다. 또한 변비에도 도움을 주어 숙변을 제거해주어 다이어트에도 상당 좋은 효과를 보실수가 있다고 합니다.

 


■ 축농증이나 비염 치료


수도를 잘 통하게하고 종기를 소멸시켜주며. 코고는 것을 치유하여 준다고도 합니다. 축농증이나 비염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의 경우~ 유근피를 진하게 달여 마시면서 그물에 죽염을 섞은다음 자주 세척해 주거나 자기전에 그물을 탈지면에 묻혀 코속에 넣어두면 처음에는 다소 따끔거리고 아플수 있지만 한, 두달 계속해주면 아주 좋은 효능을 보실수 있다고 합니다.

 

 

■ 피부미용

요즘은 여자든 남자든 모두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크죠. 유근피를 달이게 되면 끈적한 진액이 나오는데 이 진액이 피부미용에 도움이 되어요. 달인 물을 꾸준히 드시거나 진액을 직접발라 피부미용에 도움을 받아보세요.


각종 피부질환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의 경우~ 유근피를 물에 담가두면 끈적끈적한 진액이 나옵니다. 그 진액을 드시면서 죽염을 섞어 환부에 발라주면 아주좋은 효능을 보실수 있으며 피부까지 매끄러워지는 이중의 효과를 기대하실수 있다고 합니다. 달인물을 사용할시 별 효과가 없거나 악화시킬수도 있다고하니 [유의]

 


■ 항암작용

우리나라 사망율 1위가 바로 암이라고 해요. 현대사회에서도 가장 무서운 질병으로 한 번 걸리게 되면 치료도 힘들고 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평소에 미리 예방하는것이 중요한데 유근피효능이 암세포가 전이되고 생성되는 것을 막아주어 항암 효과를 받을 수 있어요.

모 건강채널에서 유아들의 아토피에 유근피가 좋은 효능이 있다고 해서인지 요즈음은 많은분들이 알고 계시기도 합니다. 또한 강한 염증작용이 있는 유근피는 항암작용을 하는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천연 항생제와 같은 효능이 있는 유근피는 악성종양의 원인균들을 억제해주어 위암이나, 직장암, 자궁암등의 치유와 예방에도 아주 좋은 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


민간요법

뿌리 속껍질(유근피, 榆根皮) · 줄기껍질(유피, 榆皮)
뿌리 속껍질은 가을에, 줄기껍질은 봄에 채취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서 쓴다. 위장병, 장염, 기관지염, 비염에 말린 것 2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잎(유엽, 榆葉)
봄에 채취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서 쓴다. 불면증에 말린 것 15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기미, 주근깨에 말린 것 달인 물을 바른다.

식용방법

어린 잎을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멥살에 섞어 설기떡(느릅떡)을 해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느릅나무 (약초도감, 2010. 7. 5., (주)넥서스)

 

 


--------------------------------------------------------------------------------

 

 

■ 유근피효능 알아보셨으니 드시는 방법도 알아보아야겠죠~?

유근피를 가정에서 쉽게 끓여서 드시는 방법으로는~잘 건조한 약재 30~40그램 정도를 2리터의 물과함께 끓이시다가 물이 끓기 시작하면 약한불로 줄여 달이듯이 끓이시다가 물의 양이 3/2 정도에서 반으로 줄어들면 하루 몇 차례로 나누어 드시면 위염, 위궤양 같은 염증 치유에 좋은 유근피의 효능을 그대로 보실수 있습니다.


■ 유근피차 만드는법

커피 대신에 유근피차를~ 보리차 대신에 유근피물을 마셔 보세요~건강에 도움이 되고 장부 기관을 튼튼히 하여 병을 미리 예방하여 준답니다.

 


준비할 재료

유근피20g, 물1리터, 유리용기 혹은 일반 주전자

 


재료 손질하기

유근피는 끓여서 차로 마시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며 또 소화흡수가 빠르기 때문에 끓여서 마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한번 끓일 분량의 유근피를 흐르는 물에 살짝 씻어서 불순물이나 먼지를 제거해 주세요. 유근피를 끓일 때 구기자, 결명자, 율무 등을 함께 넣으면 효과도 좋고 맛도 좋아지므로 함께 준비해 주세요.

 


끓이기

손질을 끝낸 유근피를 용기에 담고 물 1리터를 붓고 20분 정도 담궈둡니다. 유근피를 담근채로 센불에서 10분 정도 끓이고 불을 줄여서 약한불에서 30분 정도

더 끓입니다. 너무 오래 끓여서 농도가 진하면 마시기 불편하니 주의 하시고, 처음 드시는 분들은 적당히 끓여도 진하게 느껴지므로 이럴 때는 다음에 물을 더 붓고 끓입니다.

 


마시기

끓인 유근피물을 냉장고에 넣어두고 목이 마를 때마다 수시로 마십니다. 유근피는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에게도 좋은데 설사를 자주 하거나 배가 살살 아프다고 밥을 잘 안 먹는 아이, 밤마다 코가 막혀서 잠을 못자는 아이, 코를 자주 훌쩍이는 아이나 찬 바람에 재채기를 하는 아이에게 적당히 먹이시면 매우 효과가 좋습니다.

 


■ 알레르기성비염의 예방수칙

1.실내 온도는 23~25도, 습도는 45~50%를 유지한다.

2.유근피차, 청비차를 평소에 매일 마신다.

3.감기에 안 걸리도록 주의한다.

4.환기를 자주하고 주거환경을 청결히 유지한다.

5.카페트, 커튼, 소파의 사용을 피하고  꼭 사용해야 한다면 집먼지진드기를 제거한다.

6.이불, 베개 등을 자주 세탁하고 햇볕에 말려 소독한다.

7.동물의 털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애완동물을 키우지 않는다.

8.당분의 과잉섭취를 피하고 기름진음식도 피한다.

 

 

 


[주의사항]

임산부님들은 복용을 금해주시고 평소 몸이 차갑거나 지나치게 마른 분들의 경우 이뇨작용이 강해 장복하면 안좋은 효과가 있을수 있으니 항상 적정하게 복용해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유근피가 독성이 전혀없고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내과학회지의 발표에 의하면 극히 드문 경우지만 느릅나무를 달여서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거나 장기간 복용하면 급성간염이나 신부전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고 합니다. 내과학회지는 한의학 전문이 아니라서 신뢰할 것은 못되지만 그래도 간염환자나 신부전증이 있는 분들은 복용을 삼가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일반사람은 차로 마시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될 소지가 없습니다. 많이 먹는다는 것은 차의 수십배를 한꺼번에 먹거나 장기간 먹는 것을 말합니다.

 
 

 

 


 

'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흰불나방" 발생주의  (0) 2016.08.27
축사 15평 넘으면 가축사육업 허가대상.  (0) 2016.08.27
산초나무(열매)효능  (0) 2016.08.05
산딸나무(열매)의 효능  (0) 2016.07.18
연꽃키우기  (0) 2016.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