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지
□ 백지(白芷)
- 식물명 : 구릿대(산형과, Umbelliferae)
- 생약명 : 백지(白芷)
- 학명 및 식물기원 : 백지(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 또는 그 변종
- 이용부위 : 뿌리
가. 식물의 성상
(1) 재배식물의 성상
구릿대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줄기는 녹색바탕에 담자색을 띠며 키는 1.5m 내외,
직경은 2~3.5cm, 마디는 11마디 정도이다. 잎은 앞면이 농록색이고 뒷면은 녹색
을 띤다. 뿌리에서 올라온 근생엽(根生葉)은 잎자루가 길고 3개씩 2~3회 깃 모
양으로 갈라진다. 갈라진 윗부분의 작은 잎(項小葉)이 다시 3개로 갈라진다. 갈
라진 자리에는 규칙적으로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길이 5~10cm, 폭 2~5cm로 끝
은 날카롭다.
꽃은 흰색이고 6~8월에 줄기 끝과 가지 끝에 피며, 양성화로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꽃잎은 5개인데 우산모양을 이루며 수술이 먼저 성숙해 타화수정을 주
로 한다. 종자는 9~10월에 성숙하며 분과(分果)로서 평평한 타원형이고 기부가
있다. 길이는 8~9mm로 뒷면의 능선이 가늘고 가장자리는 날개모양을 하고 있
다. 종자 1,000립의 무게는 3.3g 내외이다.
뿌리는 담황갈색으로 비대하고 생육도중에 추대가 되면 뿌리는 목질화가 되어 약
재로 이용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생약으로 이용하는 뿌리는 추대가 되지 않은 식
물체의 1~2년생 뿌리가 좋다. 뿌리를 씹으면 대단히 독한 맛이 난다.
(2) 주요성분 및 용도
주요성분은 뱌캉엘리신(Byakangelicin), 뱌캉엘리콜(Byakangelicol), 임페라토
린(Imperatorin), 옥시퓨세다닌(Oxypeucedanin), 마르메신(Marmecin), 스코폴
레틴(Scopoletin), 이소뱌캉엘리콜(Isobyakangelicol)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
다. 약리작용은 진통(鎭痛)작용, 중추신경흥분작용, 항균작용이 있어 한방에서
는 진통약으로 감기, 두통, 치통, 안면신경통 등에 쓰이고 담배 제조 시 향료로
도 사용한다.
나. 재배환경
(1) 기후
백지는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력이 강해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지
만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중북부 이북 지방에서의 재배가 유리하다.
(2) 토양
토양은 사양토~양토로서 토심이 깊고 유기물함량이 많으며 물빠짐이 잘되는 곳
이 좋다. 모래땅에서는 가는 뿌리가 많이 발생하고 질흙에서는 뿌리가 제대로 자
라지 못한다. 연작하면 발육이 좋지 않고 수량이 크게 감소한다. 그러므로 한번
심었던 밭에는 2~3년간 다른 작물을 심어야 한다.
다. 재배법
(1) 품종
각 지역 산야에 자생되고 있는 것을 순화시킨 지방 재래종이 재배되고 있다. 종자
는 2~3년생의 병해나 충해 또는 다른 재해를 받지 않은 건실한 포기에서 성숙된
종자를 채종하여 사용한다. 채종된 종자는 잘 건조시켜 종이 봉지나 마대에 담아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한다.
(2) 재배법
재배방법은 직파재배와 육묘이식재배를 한다. 직파재배는 생력화는 되지만 수량
성은 떨어진다. 육묘이식재배는 육묘이식의 노력비가 많이 드나 수량성이 높다
(가) 파종기
재배지역에 따라 파종기가 다르며, 중북부지역에서는 가을파종을 주로 하고 중
남부지역에서는 봄 파종을 한다. 가을파종을 하면 봄파종을 하는 것보다 발아율
이 높아 유리하다. 가을파종은 10월 하순~11월 상순, 봄 파종은 3월 하순경이 적
기이다. 파종기가 늦어지면 발아생육이 늦어져 수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가능하
면 일찍 파종하는 것이 좋다.
(나) 재식거리
봄 파종하여 당년 가을에 수확하는 경우에는 골 사이 30cm, 포기 사이 10cm로
3~4립씩 점파했다가 본엽이 2~3매 전개될 때 솎음질하여 건실한 것으로 1주를
남겨 놓는다. 밀식하면 수량은 증가하나 품질이 떨어지고 규격품 생산이 어려우
므로 적정재식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다) 시비
직파재배는 당년에 수확해야 하므로 비교적 비옥한 땅에 거름을 많이 주어 뿌리
의 비대가 잘되도록 해야 한다. 뿌리의 비대생육이 좋지 못해 당년에 수확을 하지
못하게 되면 뿌리가 굵은 것(뿌리직경0.8cm 이상)은 거의 추대하여 뿌리가 목질
화되어 상품가치가 없어진다. 시비량은 10a당 질소 13kg, 인산 12kg, 칼륨 6kg과
퇴비 1,200kg 이상을 경운 전에 시비한다. 120cm 두둑을 만들고 30×10cm 간격
으로 점파한다. 질소비료는 웃거름으로 6월 하순과 9월 중순 2회에 걸쳐 6.5kg
씩 추비로 시용한다.
(라) 비닐피복 재배
백지는 약간 서늘한 기후에서 생육이 좋으므로 투명비닐피복을 하면 지온이 상승
하여 생육이 저해되기 때문에 무피복재배에 비해 수량이 감소한다. 그러나 흑색
비닐을 피복하면 고온기 최고기온이 무피복재배지 보다 낮고 토양의 습도 및 공
극이 유지되어 뿌리가 잘 비대하고 수량이 늘어난다.
(마) 솎음 및 중경제초
본엽 2~3매 시 생육상태가 좋은 것으로 10cm 사이에 1포기가 남도록 솎아준다.
잡초와 경합으로 백지의 생육이 저해되지 않도록 김매기를 2~3회 정도 한다. 김
매기를 할 때 북주기도 겸해서 실시한다.
라. 병해충 방제
(1) 병해
주로 발생되는 병은 습기가 많은 곳에서 균핵병이 발생된다. 발병초기에 발견되
는 포기는 뽑아서 제거하고 더 이상 병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고 배수를 철저히 한다.
7~8월 장마기에 지상부 생육이 왕성해지면 흰가루병의 발생이 심하다.
예방 위주로 방제를 하는데 품목고시된 작물보호제는 없다.
(2) 충해
심식층, 야도층, 진딧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심식층과 야도층은 토양살충제
를 파종 전에 전 포장에 살포하여 주고 진딧물은 방제 약제를 교호로 뿌려주면 방제가
되는데 품목고시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농약잔류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마. 수확 및 조제
수확은 11월중 하순 땅이 얼기 전에 해야 한다. 수확방법은 지상부를 베어내고 뿌
리가 상하지 않도록 잘 캐서 뿌리의 흙을 털고 물에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어느 정도 말라 부드러워지면 손질하여 뿌리를 곧게 펴고 잔뿌리를 모아서 형태
를 잡은 후 크기별로 선별하여 적당한 크기로 묶어서 다시 완전히 건조시킨다. 건
조는 40℃에서 27시간 정도 건조시키면 된다.
바. 생약의 특성 및 품질
(1) 생약의 특성
이 약은 짧은 주근으로부터 많은 긴 뿌리가 갈라져서 대체로 방추형을 이루고 길
이 10~25cm이며 바깥 면은 회갈색~어두운 갈색을 띤다. 근두부에 약간의 엽초
가 남아 있고 좁게 두드러진 돌림마디가 있다. 뿌리에는 세로주름과 세로로 두드
러진 여러 개의 가는 뿌리 자국이 있다. 횡절면의 주변은 회백색으로 빈틈이 많
고 중앙부는 어두운 갈색을 띤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2) 품질
확인시험 이 약의 가루 0.2g에 에탄올 5㎖를 넣어 흔들어 섞으면서 5분간 방치
한 다음 여과한 여액에 자외선(주파장 365nm)을 쪼일 때 액은 청색~청자색의 형
광을 나타낸다.
○순도 : 엽초(葉) ; 이 약은 엽초가 3.0% 이상 섞여 있지 않음, 이물 ; 이 약은 엽초
이외의 이물이 1.0% 이상 섞여 있지 않음
○회분 : 7.0% 이하, 산불용성회분 : 2.0% 이하
○엑스함량 : 묽은 에탄올엑스 25.0% 이상
출처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