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초 재배법

향부자 재배방법

고재순 2017. 5. 31. 10:46

향 부 자

 

·향부자(香附子)

- 식물명 : 향부자(사초과, Cyperaceae)

- 생약명 : 향부자(香附子)

- 학명 및 식물기원 : 향부자( Cyperus rotundus Linne.)

- 이용부위 : 가는 뿌리를 제거한 뿌리줄기

 

가. 식물의 성상

 

(1) 재배식물의 성상

 

 

향부자는 다년생 초본 약용식물로 덩이줄기에서 잎이 모여서 올라오는데 잎은 나비가 2~6mm로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표면은 농록색이고 이면은 회록색이다.

아랫부분과 중간부분에서 나오는 잎 수는 12매 내외, 윗부분에서 나오는 잎 수는 11매 전후이다.

잎의 크기는 중간부분의 잎(正常葉)이 아랫부분의 잎(低出葉)이나 윗부분의 잎(高出葉)보다 1.5배

정도 크다.

꽃은 7~8월에 잎 사이에서 꽃대가 올라와 꽃이 피는데 꽃대는 높이가 20~40cm

이고 농녹색을 띤다. 밑은 둥글고 위쪽은 날카로운 세모기둥형이다. 이삭은 선

(線)형이고 길이 1.5~3cm, 너비 1.5~2mm로서 20~40개의 꽃이 어긋나기로 2열

로 배열한다. 꽃은 양성화이며 꽃밥은 담황색이고 암술은 1개가 3갈래로 갈라져

뒤로 구부러져 있고 수술은 2개이다. 덩이줄기는 밑 부분이 굵어지고 뿌리줄기를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끝부분이 비대한다. 덩이줄기는 긴 공 모양으로 표면은 흑

갈색이고 속살은 백색이며 향기가 있다.

 

(2) 동속식물

사초과의 사이프러스(Cyprus)속 식물은 많이 있으나 향부자만 약용으로 이용한다.

 

(3) 주요성분 및 이용

향부자의 덩이줄기에는 시퍼렌(Cyperene), 시퍼롤(Cyperol), 소시퍼롤(Isocyperol), 서제놀

(Sugenol), 코부손(Kobusone), 지방산이 들어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진통작용과 자궁 수축억제

작용이 있어서 여러 가지 한방치료약으로 이용되고 있다.

 

나. 재배환경

제주도나 전남 해안지역에서는 월동이 가능하여 한 번 심은 후 이듬해 수확도 가

능하다. 하지만 중북부지역에서는 얼어 죽게 되므로 매년 다시 심어야 한다. 따뜻

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중남부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며 토양은 사양토로

서 수분유지가 잘되는 것이 좋다. 비옥한 땅에서 재배하면 지상부 생육이 무성하

고, 뿌리줄기의 생육이 좋지 않으며, 식토나 식양토에 재배하면 뿌리줄기를 수확

할 때 흙이 잘 떨어지지 않아 노력이 많이 든다.

 

다. 재배법

 

(1) 번식

번식은 덩이줄기(塊莖)로 번식하며 추위에 대단히 약하므로 얼지 않게 저장하였

다가 심는 것이 중요하다. 번식용으로 사용할 덩이줄기는 마른 모래와 섞어서 땅

속에 저장하는데 저장온도는 10℃가 적온이다.

(2) 심는 시기

남부지역은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경, 중부지역은 4월 20일경이 재식적기이다.

(3) 심는 방법

재식거리는 심는 시기, 토양의 비옥도, 시비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보통

40cm 간격에 4~5cm 깊이로 골을 파고 포기 사이를 20cm로 심는데 건실한 씨

덩이 줄기 한 개씩을 놓고 흙으로 덮은 다음 3cm 정도 복토 해 준다. 너무 깊이 심으면 발아하여

 새싹이 올라오는 것이 늦고 출현율도 떨어진다. 반면 얕게 심으면

건조의 피해로 출현율이 낮아진다. 비옥한 토양에 식재하거나 퇴비를 많이 줄 때

는 포기 사이를 30cm로 하여 심기도 한다. 이때 종근 소요량은 10a당 30~60kg

정도이다.

 

(4) 거름주기

비옥한 땅에는 거름은 많이 주지 않아도 되지만 보통인 땅에는 10a당 퇴비 700kg, 질소 4kg, 인산

6kg, 칼륨 7kg을 포장전면에 고루 부리고 경운하여 전층시비가 되도록 정지한 뒤 심는다. 나머지

질소 4kg과 칼륨 3kg은 8월 초순경 웃거름으로 준다. 추비량은 생육상태를 보아가면서 소량씩

가감해 주는 것이 합리적이다.

과번무 상태일 때는 추비를 생략하고 생육이 불량할 때는 추비횟수와 추비량을 늘려주는 것이 좋다.

 

(5) 본밭 관리

향부자는 심은 지 20여 일이 지나면 싹이 올라온다. 제초는 전용 살초제가 없어

손으로 한다. 생육 초기에는 제초작업시기가 늦으면 풀을 뽑을 때 향부자도 뽑혀

결주가 생기거나 뿌리가 흔들려 생육이 불량하여 진다. 7월 하순부터는 잎과 줄기

가 무성하여 별도의 제초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라. 병해충 방제

 

(1) 병

(가) 갈색잎마름병

주로 잎에 발생하며 발생초기에 황색 소형반점이 많이 형성되어 발생 후기에는

갈색의 불규칙한 반점으로 확대 된다. 심하면 잎 전체가 황색 또는 갈색이 되면

서 고사한다. 분생포자가 공기에 의해 전염되며 발병 시기는 장마 후기에 시작되

어 9~10월에 피해가 심하다. 방제는 예방위주로 오염지 재배를 삼가고, 이병주

는 제거해준다.

 

(2) 해충

 

(가) 고자리파리

유충은 작물의 뿌리가 난 부분에서부터 파먹어 들어가 지하부의 뿌리를 가해하는

데 밀도가 높을 때는 줄기 속까지도 가해를 한다. 피해를 받은 포기는 아래 잎부

터 노랗게 변하며, 피해가 심하면 전체가 말라 죽는다. 피해 받은 포기를 뽑아 보

면 뿌리의 중간이 잘라진 채 잘 뽑아지며 그 속에서 유충(구더기)이 관찰된다. 년

3회 발생하며 발생 최성기는 남부지역은 4월 중순, 6월 상순, 9월 하순~10월 상

순이며, 중부지역은 1주일 정도 늦어진다. 방제는 미숙퇴비 시용이 발생을 조장

하므로 완숙퇴비를 시용한다.

 

마. 수확 및 수확 후 관리

 

(1) 수확 시기

늦가을 서리가 내려서 잎과 줄기가 누렇게 변하였을 때가 수확적기이다. 중부지

역은 10월 하순, 남부지역은 11월 초중순이 수확적기이다.

 

(2) 수확방법

누렇게 변한 향부자의 잎과 줄기를 낫으로 베어낸다. 그 다음 밭을 갈아 뿌리를 뒤집고 3~4일 동안

 그대로 건조시켜 흙이 잘 털릴 정도가 되도록 한다. 건조된 뿌리는 쇠스랑으로 툭툭 쳐서 흙을 털고

덩이줄기와 뿌리를 쇠갈퀴로 긁어모아 다시 햇볕에 건조시킨다. 어느 정도 건조가 되면 잔뿌리를

태우고 덩이줄기만 골라내야 한다. 이때 뿌리가 불에 너무 타서 덩이줄기까지 못쓰게 되지 않도록

주의 하며 타지 않은 잔털이나 뿌리는 제거해 주어야 한다.

 

(3) 조제

잔뿌리를 제거한 덩이줄기는 다시 충분히 건조시킨 후 절구나 거피기로 껍질을

벗긴다. 향부자는 길이 1.5cm, 지름 0.5cm 이상으로 향기가 강하고 털이 없으며

꺾인 면이 엷은 황색을 띠어야 상품이 된다.

 

바. 생약의 특성 및 품질

 

(1) 생약의 특성

이 약은 방추형을 이루고 길이 15~25mm, 지름 5~10mm이며 그 한쪽 끝에 줄기

의 잔기가 남아 있다. 바깥 면은 회갈색~회흑갈색을 띠며 5~8 개의 고르지 않은

돌림마디가 있고 여기에 한쪽을 향하여 많은 털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자른 면은

적갈색~엷은 황색을 띠며 납(蠟)과 같은 광택이 있다. 피층부의 두께는 중심주의

지름과 거의 같거나 약간 얇다. 횡절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바깥쪽에 섬유 속의 갈

색반점이 윤상으로 배열되고 피층부의 곳곳에 섬유속이 적갈색의 반점으로 또한

분비세포가 황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다. 중심주에는 여러 개의

유관속이 점 또는 선으로 산재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다.

(2) 품질

○ 회분 : 3.0% 이하, 산불용성회분 : 1.5% 이하

○ 정유함량 : 0.3mL 이상(50.0g, 실리콘수지 1mL)

 

출처 : 농촌진흥청

 
관련


'산약초 재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용작물 천궁의 재배방법과 특성  (0) 2017.07.25
산마늘 씨앗채취,파종방법  (0) 2017.07.23
감초 재배기술  (0) 2017.05.26
백지 (구릿대) 재배 방법  (0) 2017.05.24
고본 재배 기술  (0) 2017.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