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초 재배법

비타민 나무 재배법

고재순 2018. 12. 31. 21:20

비타민나무란?


비타민나무의 과실에는 포함되는 영양 성분은 190 종류 이상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 안에는 비타민 6 종류, 지방산 22 종류, 식물성 미량 영양소 등 유효 성분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타민나무는 옛날부터 알려진 유용 식물이며 각종 비타민류와 아미노산, 베타카로틴, SOD , 사과산이나 구연산, 후라보노이드, 불포화 지방산, 미네랄 등 다량의 유효 성분은 세계 각국의 연구에 의해서 이미 밝혀지고 있습니다. 특히 비타민류가 풍부하여 “비타민의 은행”이라고도 말하며 중국에서는 “국보”, 또 러시아에서는 “제2의 인삼”, 홍콩이나 대만에서는 “미라클 프루츠”, 북한에서는 김일성 주석이 생전 시 쓸모 있는 나무라고 평한 후부터 비타민나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들을 다양하게 골고루 보충하는 귀중한 과일로서 진귀하게 여겨 왔습니다.


전설에 의하면, 고대 그리스에서는 비타민나무숲에 병사들이 버린 병든 말들이 기적적으로 생존하여 병이 치료되었으며 말들의 털이 윤기가 반들반들 흐르는 건강한 말들이 되었다고 전해져 왔습니다. 강한 통치력과 군사적 지략으로 들판을 떠돌아다니던 유목민인 몽골민족을 통합했고 중국왕조의 수도까지 점령했던 칭기즈칸, 그는 아시아 대륙뿐만 아니라 서방세계까지 굴복시키며 그의 이름을 세계만방에 떨쳤다. 몽골 제국을 구축한 그 칭기즈칸도 비타민나무를 자양 강장의 비약으로서 계속 애음해 몽골 귀족의 사이에서도 비타민나무는 매우 진귀한 식물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일본의 스모 대회계에서 활약하고 있는 몽골 출신의 "요코즈나도" 비타민나무를 일부러 몽골에서 들여와 컨디션 관리를 위해서 먹고 있다라는 것. 비타민나무의 풍부한 천연 비타민이나 아미노산등의 영양소가 천하장사의 몸만들기에는 빠뜨릴 수 없는 과실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해외에서도 방사선으로부터 인체를 지키는 우주식으로서 주목받아 애용되고 있습니다.


극한의 기후 악조건과 거칠고 메마른 척박한 토양에서 잘 생육하므로 토양으로부터의 영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다른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불모지 토양에서 번성하는 특이한 식물이며, 에너지를 흙으로부터가 아니고, 태양의 빛으로부터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강렬한 태양이 내리쬐는 곳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비타민나무의 성장 환경은 비타민나무는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추위가 심한 고산이나 사막 지대에서 생육하고 있습니다. 강수량이 극단적으로 적고 기온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식물이 살아남으려면 가혹한 환경가운데서 비타민나무는 2억년 전부터 끊어지는 일 없이 살아 남아 왔습니다. 지구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식물의 하나입니다.


재 배 방 법

1. 재배방법에는 씨앗을 발아하여 재배 또는 묘목을 분양 받아 재배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2. 씨앗을 발아하여 재배하고자 할 때는 씨앗을 구입하여 포트에서 발아 시키거나, 밭이나 논에 직접 씨앗을 뿌려 발아 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 포트에서 발아시키실 때는 종자 발아용 토양(펄라이트+버미클라이트)을 사용하여 씨앗을 심고 흙을 씨앗의 1~2배 정도 덮어 주시면 됩니다.

나) 논이나 밭에 직파를 하고자 하시면, 밑거름을 미리 충분히 주고 로타리친 후 1.5m정도의 두둑을 만들어 밑거름이 완전히 발효시킨 뒤(15~30일후) 봄(18℃이상)이나 늦가을 땅이 겨울 얼기 전에 직접 파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논이나 밭에 파종 시 파종기나 흩뿌림, 비닐멀칭 사용 등으로 씨를 뿌린 뒤 모래 섞인 흙을 씨앗의 1~2배 정도 덮은뒤 봄에는 씨가 마르지 않도록 물 뿌리개로 물을 주면 7~15일이면(20℃이상)싹이 나옵니다. 물론 같은 조건에서도 씨앗이 1개월 정도 지난 뒤에 발아되는 씨앗도 있다. 늦가을이나 겨울에 파종한 씨앗은 당시 발아가 되지 않고 이른 봄 땅의 기온이 상승 시 새싹이 나옵니다.

3. 묘목을 분양받아 재배 하고자 하실 때는 묘목에 많은 돈을 투자 하지 않는게 현명한 선택이 되실 것 입니다. 너무 성급하게 생각하시고 다년생을 비싼 값에 사서 심을시 수입종은 뿌리를 15cm이하로 잘라서 오기 때문에 생존율이 낮으며 국내산의 경우도 3년생 이상이 되면 나무 자체가 2m이상 자라서 배송시 전지하여야 하는 문제로 나무를 많이 절단하게 되어 생존율이 떨어집니다. 1~2년 생의 경우 가격도 저렴하고 운반도 용이하며 이식하기 용이함은 물론 나무 형태를 그대로 보존하기 때문에 90%이상 생존하는 나무이며, 시비와 수질관리만 잘 하면 1년에 50cm~1m 이상을 자라는 나무입니다. 충분한 영양이 보급 되었을 때는 열매 또한 3년생부터 열리기 시작 합니다. 1년생 3~50cm정도의 나무를 봄이나 늦가을에 심으면 1년 후 1.5m크기로 자랍니다. 나무심는 시기는 봄과 늦가을 땅이 얼기 전이 좋으며 봄에 심게 되면 새싹을 빨리 볼 수는 있으나 나무가 몸살을 하여 성장 속도가 떨어지며 영양분이 뿌리에 축적되어 있는 늦가을 땅이 얼기 전에 옮겨 심으면 나무가 휴면 상태에서 이식되어 봄에 새싹이 나올 때는 자리를 잡은 상태에서 새싹을 틔우므로 몸살을 하지 않고 건강하게 잘 자라게 됩니다.

4. 비타민 나무의 관리는 공기, 햇빛, 관수 그리고 시비를 적당히 공급되었을 때 잘 살고 잘 자라는 나무 입니다.

5. 비타민 나무는 눈이 많아서 분재나 관상용으로 화단에 심어서 사용하기에 좋은 나무이며, 만생종의 경우 잎과 열매가 겨울까지 있으며, 햇빛을 매우 좋아 하고 성장속도가 빨라서 분재용으로 키우실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면 잘 키울 수 있는 나무 입니다.

6. 비타민 나무는 물을 무척 좋아 하면서 배수가 잘되는 곳을 좋아합니다. 같은 밭에 심어 놓고 관찰해 보면 성장 과정에서 배수의 차이를 월등히 나타내는 나무 입니다.

7. 비타민 나무는 영양분을 자가 생산해서 먹고 사는 나무이면서도 거름을 매우 좋아하는 나무입니다.

8. 최적의 조건(일조량, 물, 배수, 시비)을 갖추어 줄때 비타민 나무는 특별한 병해충 발생없이 잘 자라는 나무 입니다.

9. 비타민 나무의 번식은 씨앗. 삽목. 뿌리 등으로 합니다.

가. 씨는 봄(3월 하순~ 5월 중순 ,지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가을(땅이 얼기 전)뿌림을 합니다.

나. 삼목은 숙지삽(3월하순~4월)과 녹지삽(6월초순)을 이용하여 번식하면 됩니다.

다. 뿌리로 번식하는 방법은 뿌리에서 새 순이 돋아나면 본 나무에서 분리하여 옮겨 심으시면 됩니다.

다음검색

'산약초 재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라지 씨앗 심는 방법>  (0) 2019.01.18
[눈개승마의 효능/눈개승마 요리법]   (0) 2019.01.16
삼백초 재배법   (0) 2018.12.10
여성을 위한 당귀효능 7가지  (0) 2018.11.05
국화꽃 재배법  (0) 2018.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