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게와는 달리 참게는 참게 특유의 깊은 향이 있으므로 꽃게 등의 간장 게장 담글 때처럼 여러 양념과 술 등을 넣으면
참게 고유의 맛이 다 사라져버린답니다.
간단하면서도 참게의 깊은 향을 느낄 수 있는 담금방법인데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참게를 씻습니다. 배딱지 부분은 칼로 살짝 벌려서 흐르는 물에 살짝 씻어주면 되겠습니다.
너무 과하게 세척하면 참게향이 날라가버리기 때문입니다.
담금 중간에 간장국물 끓이면서, 또 가라앉은 것 따라낼 때 다 씻어지고 또 소독되므로
적당히 씻어서 물기 탁탁 털어 게장 담글 유리병이나 락엔락 통에 넣고 뚜껑 얼른 닫습니다.
이때 게를 뒤집고 똑바로 서고 할 겨를도 없습니다. 살아서 튀어나오니까요. 간장물 뒤집어 쓴채로요~~~
2) 생게에 그냥 간장을 부어줍니다. 게가 잠길 정도로. 이때는 사실 야채등 넣지 않는 것이 훨씬 깔끔합니다.
첫 간장 붓기는 게들을 싱싱할 때 간장에 익사(?)시키는 목적입니다.
아무것도 넣지 않은 간장 자체에서 바로 참게의 향이 우러나기 때문입니다.
3) 약 5일 후 간장 국물을 얌전히 따라내고~ 게들은 한쪽에 차곡차곡 쌓아둔 뒤 위에 있던 게들이 이번에는 먼저 들어가도록 기억해둡니다. 다시 간장국물을 끓입니다. 이때에 통마늘, 생강, 대파, 고추, 양파, 통후추 등을 넣고 끓이며 거품 등은
이물질이므로 깔끔하게 걷어냅니다.
이 때 간장이 줄어드므로 간장을 추가하기도 하지만 너무 짠 것 이 싫으시면 생수 등을 넣어도 무방합니다.
이것은 각자의 입맛에 맞게 하시면 되겠습니다.
4)다시 게들을 담습니다. 이 때가 가장 중요합니다. 여기서 게장의 맛이 살아납니다. 이것이 비법이라면 비법인데요
잘 말린 태양초 통고추와 생강등을 준비하여.... 고추는 마른 행주로 닦아서 약 1cm 간격으로 썰고, 생강은 껍질 벗기고 씻어서 얇게 져며놓습니다.
이제 통에 담습니다. 간장에 절어진 게를 (처음에 위에 있던 것들 먼저) 바닥에 눕히고 배 뚜껑을 열고 그 사이에 고추와 생각편을 켜켜로 두, 세개씩 끼어 넣습니다. 그렇게 차곡 차곡 올려 놓으면 게내장과 알등이 빠지지도 않고 좋은 향이 배어 간장도 맛있고 게도 맛있게 됩니다. 이쁘게 고추와 생강등을 담은 게들이 다 눕혀지면, 끓인 간장의 야채 등을 다 건져내고 완전히 식은 후에 깔끔한 간장을 살며시 부어줍니다.
뚜껑 덮고 일주일....지나면 일주일 간격으로 약 세번 정도 끓여서 다시 넣고를 반복하시면.....
세 번째 끓이신 다음 일주일이 지나고 약 한 달 일주일이 지나게 되고 그 때부터 먹으면 됩니다.
잘 숙성되었을 것입니다. (좀 번거롭긴 합니다~)
냉장고에 넣어서 드시고, 장기간 드시려면 2개월에 한 번씩 간장을 다시 한 번 다려서 식혀서 부어도 좋습니다.
단 이렇게 오래두고 드시면 참게의 속살은 거의 간장에 녹아버립니다.
사실 그간장을 뜨거운 밥에 생계란 한알 넣고 같이 비벼버리면 궁극(?)의 참게장 계란비빔밥이 되지요.
먹어 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맛이란 이런 것이라는 표현을 감히 쓸 수 있는~~~(좀 거창했나요~)
보통의 간장게장 전문점은 냉동실에 게따로 간장국물 따로 보관을 하지요.
참게장을 담그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원재료인 참게의 신선도와 속살과 장(게닦지에 있는 내장)의 풍부함,
그리고 간장입니다.
첫 번 째는 참게는 믿을 만한 곳에서 눈으로 직접보고 구입하면 되겠지만 간장이 문제입니다.
전국의 유명 간장게장집에서는 대부분이 몽고간장을 사용합니다.
한 업소의 주방장에게 그 이유를 물어보니 배울 때 그리 배웠다는 우문에 현답이 돌아오더군요~
해서 간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떤 간장을 사용해야 최선의 참게장 맛을 끌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하여....
<간장의 종류와 용도>
![1.jpg](http://yomat.net/data/cheditor4/1404/8d02968ebe246d8b8d4d23afe0dc84ec_kbzIiEIHBjh8vrAHwEH7AaNgzz.jpg)
먼저 간장의 종류를 잘못 구분한 사례부터 언급해 보도록 합니다.
첫째, 진간장은 산분해간장과 양조간장을 섞은 것이다?
양조간장이 전통 방법에 가깝게 콩을 발효시켜 유용한 아미노산을 얻는 것이라면
![2.jpg](http://yomat.net/data/cheditor4/1404/8d02968ebe246d8b8d4d23afe0dc84ec_Ku7AYhDw9b1Iwvef7EJKAbhma2l8hVz.jpg)
진간장은 색과 맛이 진한 간장이어서
둘째, 간장의 종류는 크게 진간장과 양조간장, 국간장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자, 간장의 종류와 쓰임새! 정리 들어갑니다.
참 쉽죠?
물론 양조간장이라고 해서 다 같은 품질은 아닙니다.
![3.jpg](http://yomat.net/data/cheditor4/1404/8d02968ebe246d8b8d4d23afe0dc84ec_8MaDwP47mOg.jpg)
저렴한 횟집 가면 간장맛이 좀 거시기 하신 경우 있으셨나요?
![4.jpg](http://yomat.net/data/cheditor4/1404/8d02968ebe246d8b8d4d23afe0dc84ec_ArTwklBzBQOKu2Udqbz9qzPhFultbUR.jpg)
와사비를 간장에 풀지 않고
![5.jpg](http://yomat.net/data/cheditor4/1404/8d02968ebe246d8b8d4d23afe0dc84ec_G6AER4L79.jpg)
여기서 하나 더. 몽고간장은? 하시는 분....
![6.jpg](http://yomat.net/data/cheditor4/1404/8d02968ebe246d8b8d4d23afe0dc84ec_aRxmmsuL3fWXxC.jpg)
간략하게나마 간장의 종류와 용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 가장 중요한 것을 빠뜨렸네요~
참게장에는 어떤 간장을 사용해야 할까요?
개개인의 식성이 틀리겠지만 저의 입맛기준에서는 양조간장 701에 9회 죽염수 와 생수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비율은 5:1:4 (양조간장701:9회 죽염수:생수) 입니다.
여기서 9회 죽염수는 충분한 미네랄공급과 간장의 깊은 맛속에 깔끔한 맛을 더하기 위함입니다.
지난 여름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참게장과 함께 건강을 지켜보시자구요~
'맛집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집) 생활의 달인, 전국 냉면 맛집 BEST 5 (0) | 2021.08.06 |
---|---|
(맛집) 물왕저수지 맛집 한 바퀴.. 걸으며 '뷰 맛집'도 한 바퀴 (0) | 2021.08.06 |
[스크랩] 에이,,,,실컷 먹구 싶은데,,,,미치 (0) | 2014.12.19 |
[스크랩] 간단하게 끓이는 뜨끈뜨끈한 대추죽 (0) | 2014.10.08 |
[스크랩] 지리산에 가면 꼭 먹어야 하는 또 하나 (0) | 201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