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로 일찍 개화, 벌들 혼란
바이러스 질병 퍼져 폐사 늘어
양봉농가 소득도 10분의 1로
한국산 꿀이 사라지고 있다. 1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양봉산업 위기와 시사점’ 보고서 등에 따르면 국내 벌꿀 생산량은 지난해 9685t으로 2014년(2만4614t)에 비해 60.7% 급감했다. 이 가운데 야생의 꽃이나 수액에서 얻는 ‘천연꿀’이 2014년 2만1414t에서 지난해 5395t으로 74.8%나 줄었다. 반면 꿀벌이 설탕물을 먹고 생산하는 ‘사양꿀’은 같은 기간 3200t에서 4290t으로 늘었다.
꿀벌의 개체 수가 줄어든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0년대 초반 ‘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키는 악성 바이러스가 번지면서 한국의 토종 꿀벌의 70%가 사라지기도 했다.
지난해는 본격적인 꿀 채취가 이뤄지는 5월에 꿀벌의 폐사가 늘었다. 비가 자주 내리고 기온이 떨어져 전국 곳곳에서 꿀벌 바이러스 질병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꿀벌의 생육 환경이 나빠지고 있는 것은 비단 한국만이 아니다. 미국·유럽 등에서는 최근 10년간 벌꿀 개체 수가 40%가량 감소했다는 조사도 있다. 꿀벌은 꽃의 암술과 수술 사이를 오가며 식물의 수분을 돕는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 100대 농작물의 71%가 꿀벌에 수분을 의존하고 있다. 꿀벌의 개체 수가 줄면 세계적인 식량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이유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양봉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벌꿀 생산보다는 꿀벌의 화분 매개를 통한 가치 창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정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미국의 양봉 농가는 벌꿀 생산액보다 화분 매개 수익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해외 선진국에서는 우선순위를 화분 매개에 두는 추세”라며 “양봉업이 자연환경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익적 가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토종벌 키우는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은 건강한 당분인 이유 (0) | 2020.04.18 |
---|---|
토종꿀의 효능 (0) | 2019.10.15 |
벌통사용법 (0) | 2019.04.10 |
애벌레 말라죽는 불치병에 토종벌 농가 신음 [ (0) | 2018.11.03 |
토종벌과 함께 37년… 특허 7개에 연매출 2억 ‘달콤한 결실’ (0) | 2018.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