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춘란 1274

능소화

능소화 능소화(凌霄花)란 꽃이름은 한자로 업신여길 능(凌), 하늘 소(霄)로 높은 하늘을 가소롭게 보고 하늘 높이 타고 올라가는 덩굴꽃이란 뜻이다. 능소화는 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능소화를 양반집에서만 심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양반꽃'이라 부르기도 한다. 능소화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능소화라 부르는 것은 중국이 원산지이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미국능소화가 있다. 미국능소화의 학명은 캄프시스 라디칸스(Campsis radicans)이다. 영어 이름으로는 악기 트럼펫을 닮은 덩굴식물이라고 트럼펫 크리퍼(trumpet creeper), 트럼펫 바인(trumpet vine)이라고 한다. 미국능소화(라디칸스능소화) 미국능소화(Trumpet vine. 라디칸스능소

한국의 춘란 2021.05.31

뻐꾹채

#야생화 ■ 알면 약초 모르면 잡초 ■ #뻐꾹채 #누로 '뻐꾹채', 'Uniflower swisscentaury', 꽃말은 '나그네', 꽃이 엉겅퀴를 닮아 사진을 보여주면 대부분 '엉겅퀴'라고, 꽃봉오리가 뻐꾸기의 가슴털을 닮아 붙여졌다는 이름, 가시가 없는 게 특징이다. 오월에 산길을 가다 친구가 되어주는 나그네같은 꽃, 꽃색도 예쁘지만 정원에서 군락을 이루면 멋진 화단이 된다. 뿌리가 직근성이라 이식을 싫어하며 충분한 햇볕과 물이 잘 빠지는 부드러운 흙을 좋아한다. 국화과, 산 중턱의 볕이 잘 들고 좀 마른듯한 비탈면에 자생한다. 나그네, 인생은 나그네길, 어디선가 왔다가 어디론가 가는 길, 오월은 아름다운 계절이니 너무 복잡하고 심각하게 살지 말라는 메시지일지도... 뻐꾹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

한국의 춘란 2021.05.17

둥굴레 꽃말

꽃말 : 고귀한 봉사 영명 : Polygonatum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동아시아지역과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땅속 줄기에서 줄기가 나와 자라며, 높이는 30~60cm 정도이다.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긴대롱 모양으로 꽃이 핀다. 한방에서는 편황정(片黃精)이라하여 자양, 강장, 해열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하며, 뿌리는 차로도 마신다. 유사종으로 산둥굴레, 큰둥굴레, 맥도둥굴레, 왕둥굴레, 애기둥굴레, 좀둥굴레 등 이밖에도 많은 유사종이 있다. 고귀한 봉사, 잎, 줄기, 뿌리를 우리에게 내어주며 약재로, 차로 모든 것을 아낌없이 주는 둥굴레야 말로 말없는 봉사를 실천하는 식물이네요. -ssh-

한국의 춘란 2021.05.10

우리의 야생화 금낭화

한국, 중국 원산의 '금낭화(하포모란근)' 1. 현호색과/금낭화속의 여러해살이풀 2. 꽃말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3. 학명 Dicentra spectabilis (L.) Lem. 4. 개화시기는 4∼6월이며 담홍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줄기 하나에 줄지은 모양으로 주렁주렁 달린다. 꽃은 볼록한 주머니 모양이다. 꽃잎은 4개가 모여서 하트모양이 된다. 바깥 꽃잎 2개는 밑부분이 꿀주머니로 되고, 안쪽 꽃잎 2개가 합쳐져서 관 모양의 돌기가 된다. 꽃받침잎은 2개로 가늘고 작은 비늘 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숙근성 다년초로 키는 50~70cm 정도 자란다. 식물 전체가 흰빛이 도는 녹색이고 줄기는 연약하며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3개씩 두갈래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을..

한국의 춘란 2021.05.09

우리의 야생화 : 수사해당

중국서부 원산의 '수사해당(할리아나꽃사과)' 1. 장미과/사과나무속의 낙엽활엽소교목 2. 꽃말 '산뜻한 미소' 3. 학명 Malus halliana Koehne 4. 개화시기는 4~5월이며, 잎과 같이 피고 분홍색으로 핀다. 꽃은 가지 끝에서 여러개가 모여 달리며 붉고 긴 자루에 달려 아래를 향해 늘어지면서 핀다. 홑꽃과 곁꽃이 있다.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고, 갈라지면서 조각조각 떨어진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가지 끝에는 모여난 것처럼 촘촘히 달린다. 잎은 긴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다. 열매는 콩알 만하게 달리고 암갈색 또는 노란색으로 익는다. 5. 주로 관상용으로 심고 열매는 생으로도 식용이 가능하다. 6. 사과나무속(Malus) 꽃사과 유사종 - 사과나무(Malus pumila Mi..

한국의 춘란 2021.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