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팝나무(Chinese fringe tree) 이팝나무(Chinese fringe tree) 꽃말 : 충절 내용 이밥에 고깃국, 흔히 북한에서 주민들 소원이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이밥은 이팝나무의 꽃이 쌀밥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용 이팝나무는 길가 가로수로 많이 심긴다. 얼마전 서울시내에서도 1가구 이팝나무 1주심기 운동을 벌일 정도로 도.. 한국의 춘란 2017.06.06
`도깨비부채(Rodgersia 도깨비부채(Rodgersia) 꽃말 : 행복, 즐거움 내용 도깨비부채라는 이름은 잎 모양에서 비롯된 듯 하다. 손바닥처럼 생긴 커다란 잎이 보기만 해도 시원하다. 이용 원래가 고산성식물이라 햇볕이 내려쬐는 평지에서는 이용이 어렵다. 정원에 심는 경우에는 충분한 그늘을 만들어 시원하게 해.. 한국의 춘란 2017.06.05
낭아초 낭아초 (狼牙草) 꽃말: 사랑의 노래를 부르는 꽃 원래 큰낭아초와 구분하여 부르다가 낭아초로 통합되어 부른다. 狼(이리 낭) 牙(어금니 아)를 쓴다. 꽃모양이 이리의 날카로운 어금니를 닮았다. 물감싸리라고도 부르는데 요즘 야산, 둘레길 어디에서나 자주 만날 수있다. 연분홍빛으로 촛.. 한국의 춘란 2017.06.05
ㅇ꼬리조팝나무(Willowleaf spiraea) 꼬리조팝나무(Willowleaf spiraea) 꽃말 : 은밀한 사랑 내용 꽃이 활짝 피었을 때 모습이 털이 수북이 덮인 꼬리를 연상케 하는 꽃이다. 화사한 분홍빛의 꽃과 길게 뻗은 수술이 특이하다. 이 나무에는 버드나무와 같은 진통성분(Salicin)이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어느 제약회사에서 약 이름을 .. 한국의 춘란 2017.06.03
섬말나리(Ulreungdo lily 섬말나리(Ulreungdo lily) 꽃말 : 더 이상 고귀할 수 없다. 내용 울릉도에 가면 '나리분지'가 있는데 오래전에 그곳 사람들이 섬말나리의 비늘줄기를 구황식물로 이용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 것 같다. 섬말나리는 일반 나리와는 다른 독특한 꽃색을 지니고 있어 유난히 아름다우며, 신품종.. 한국의 춘란 2017.06.02
플록스(Annual phlox) 플록스(Annual phlox) 꽃말 : 내 가슴은 정열에 불타고 있습니다.내용 플록스와 숙근플록스가 있다. 플록스라는 이름은 그리스어의 '불꽃'에서 유래되었다. 빨간색에 가까운 진분홍색 꽃이 줄기 끝에 다닥다닥 모여 있는 모습은 매우 정열적이다. 이용 플록스는 그동안 화단용 품종들이 주류.. 한국의 춘란 2017.06.01
패랭이꽃(chinense pink) 패랭이꽃(Chinense pink) 꽃말 : 정절내용 고려 예종 때 정습명의 시나 김홍도의 그림에서 나타나듯이 패랭이꽃은 오랫동안 우리 곁에 있던 꽃이다. 정원의 화려한 꽃은 아니지만 산기슭이나 들녘에서 강한 생명력으로 순박한 웃음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용 요즘 흔히 도로변에 관상용으로 .. 한국의 춘란 2017.05.31
미나리아재비 (East Asian buttercup) 미나리아재비 (East Asian buttercup) 꽃말 : 천진난만 미나리와 유사하다고 미나리아재비지만 전혀 다른 식물이다. 아재비는 비슷하다는 뜻이다. 길상사의 양지바른 곳에서 반짝이는 노랑색으로 만났던 미나리아재비다. 고대에는 화살촉에 이꽃을 독으로 사용했을 정도로 독성이 있어 주의가 .. 한국의 춘란 2017.05.30
태산목(Southern magnolia) 태산목(Southern magnolia) 꽃말 : 위엄내용 이름에 걸맞게 '크다' 라는 느낌이 드는 나무이다. 꽃도 크고 잎도 크고 키도 크고... 워낙 나무가 크고 생김새가 위풍당당하기 때문에 붙여진 꽃말인 듯 하다. 이용 주로 공원이나 유원지 등의 조경수로 많이 쓰이는데, 식재공간이 충분히 넓어야 한.. 한국의 춘란 2017.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