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춘란 1274

은방울꽃,,산마늘,,얼레지 구분하기

몸의 영양을 좋게하는 자양과 몸의 힘을 왕성하게 하는 강장제로 콩팥질병과 이질, 복통, 궤양성 질병에 효험을 나타내며 위장병 치료의 건위에도 사용한다고 합니다. 단, 한꺼번에 많이 드시면 배탈이 날 수 있으므로 하루 이틀 우려서 조금씩 드시기 바랍니다! [식용 방법] 알뿌리를 강판에 갈아 물에 담가 놓았다가 녹말을 얻어 요리하는데 쓴다. 이 녹말은 영양가가 높기는 하나 많이 섭취할 경우 설사를 일으키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알뿌리를 조려서 양념간을 해 먹기도 한다. 어린 잎은 나물무침이나 국거리로 식용하며 맛이 담백해서 먹을 만하다. 꽃차 만들기 1. 자연 건조 *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한 얼레지 꽃은 약간 쓰고 아린 맛이 있으므로 꽃을 건조하여 우림 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므로 발효꽃차..

한국의 춘란 2020.12.22

무명 홍화소심

2017년 한국난연합회의 "한국난대전"에서 참고품으로 출품되어 많은 애란인들이 관심이 집중되었던 품종입니다. 제가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지금까지 소장자가 여러 품종을 출품하면서 산지를 밝혔던 일이 매우 드물었었는데 이 품종은 2012년 전라남도 고흥에서 채란되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또 한 가지 염두에 둬야 할 것은 이 품종이 산채품으로서의 개화가 아니라 5년간의 배양을 거치면서 개화가 되었다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산채 당시의 개화 모습이 화려한 홍화라 할지라도 배양중에 재개화가 될 경우에는 홍화보다는 주금화로 개화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난분에 식재되어 배양하였음에도 홍화로 재개화가 되었음은 이 품종이 명확한 홍화소심이라 할 수 있음이라 하겠습니다.(주금소심 "등대" 또한 산채시에는 홍화소심이었으나 재개화 ..

한국의 춘란 2020.12.06